생성형 인공지능(AI)이 촉발한 글로벌 AI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각 산업 분야와 빠르게 융합하면서 현재보다 훨씬 진화한 형태의 '하이브리드 AI' 기술과 서비스가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문가 관측이 제기됐다.
22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KES 2024(한국전자전) 기조연설 강연자로 나선 AI 전문가들은 일제히 한층 발전한 AI의 미래상을 제시했다.
하이브리드 AI는 기기와 클라우드가 동시에 작동해 AI 연산을 분산시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리소스를 효율화하는 기술이다.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겸 인공지능연구원(AIIS) 원장은 AI의 발전 단계를 세분화해 △지각하는 '판단형 AI' △사고하는 '생성형 AI' △행동하는 '행동형 AI'로 구분했다. 예를 들어 아마존 고는 판단형 AI, 오픈AI의 챗GPT는 생성형 AI에 해당한다.
장 원장은 “다음 혁명은 AI가 디지털 분야뿐만 아니라 신체적 능력까지 갖추는 것”이라며 “이는 AI가 직관적으로 세상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단계”라고 전망했다.
장 원장은 이 단계까지 기술이 진보하면 AI는 사람처럼 지각·사고·행동하는 기계로 한층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AI가 사람처럼 몸을 쓰고 행동하게 되면 육체노동이 필요한 직업군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영준 LG전자 인공지능연구소 온디바이스AI 사업화 태스크 담당 전무는 “AI가 발달할수록 민감한 사안이나 사람 특징에 따라 더 고도화된 처리를 할 수 있는지가 중요해질 것”이라며 “보다 능동적이고 똑똑한 AI가 필요하다”며 'AI 에이전트'를 강조했다.
김 전무는 앞으로 온디바이스 AI와 클라우드가 연합해 학습하는 방식이 주류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온디바이스 AI와 클라우드를 결합하는 하이브리드 모형으로 AI가 상황에 따라 더 유연해질 수 있다”며 “특정 목적을 위해 학습·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실생활 문제 수준에 따라 스스로 학습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재의 AI는 모든 것을 아는 거대지능이지만 미래에는 나를 알아주는 동반자 혹은 내 어려움을 해결해주는 조력자 등 'AI 에이전트' 형태로 진화한다고 내다봤다.
김 전무는 “AI 에이전트를 활성화하면 개인의 에이전트는 내 모습이 투영되게 된다”며 “앞으로는 상황에 맞는 다양한 에이전트가 등장해 향후에는 에이전트 간 소통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대세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이제 온라인은 사람이 아닌 에이전트를 맞을 준비를 해야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서봉 KT AI·클라우드사업본부장 상무는 AI 다양성을 위해 지역의 언어·문화·가치관을 반영한 AI 서비스로 AI 주권을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KT는 이를 위해 최근MS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AI·클라우드 생태계 조성에 나서기도 했다.
유 본부장은 “한국형 AI 모델과 클라우드 서비스는 AI·데이터 주권을 확보한 시큐어 퍼블릭 서비스 형태로 제공할 계획”이라며 “국내 산업별 규제와 정책을 준수해 보안이 중요한 공공, 금융 등 규제 대상 분야에 서비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브라이언 코미스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 수석 디렉터는 내년 1월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로 'AI 혁명'을 꼽았다. 소비자용 하드웨어가 진화하면서 더 많은 사람이 AI에 노출되고 이런 변화를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 등이 주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김신영 기자 spicyzer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