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현석 콘진원장 직무대행 “내년 K 없는 K콘텐츠 시대 올 것”

유현석 한국콘텐츠진흥원장 직무대행이 3일 서울 CKL스테이지에서 열린 '콘텐츠산업 2024 결산 2025 전망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유현석 한국콘텐츠진흥원장 직무대행이 3일 서울 CKL스테이지에서 열린 '콘텐츠산업 2024 결산 2025 전망 세미나'에서 발표하고 있다.

“내년은 우리 콘텐츠가 '한국적'이라는 특수성을 넘어 전 세계 대중문화의 중요한 한 축이 되는 글로벌 스탠더드 콘텐츠로 자리잡는 과정이 될 것입니다.”

유현석 한국콘텐츠진흥원장 직무대행은 3일 서울 CKL스테이지에서 열린 '콘텐츠산업 2024 결산 2025 전망 세미나'에서 “내년 콘텐츠 산업을 '넥스트 K'로 전망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유 직무대행은 내년은 'K 없는 K콘텐츠' 시대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블랙핑크 로제와 브루노 마스가 함께 부른 '아파트' 성공을 보면서 새로운 K의 시대가 오고 있다고 생각했다”며 “K콘텐츠의 궁극적인 성장은 K를 굳이 붙일 필요 없는 그 자체로 글로벌 시장에서 중심이 되는 콘텐츠로 자리매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 직무대행은 “'기생충', '오징어게임', 'BTS'와 같은 K콘텐츠 성공을 통해 'K'가 전 세계적인 문화 현상이 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이제 한 걸음 더 나아가, 문화적 경계와 지리적 경계에 갇히지 않고, 더 넓은 시장과 더 많은 이용자와 만나는 K의 시대가 도래하리라 생각한다. 이것을 우리는 새로운 한류, '넥스트 K'로 명명했다”고 밝혔다.

넥스트 K는 글로벌 이용자에게 보편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글로벌 코드와 한국의 제작시스템이 현지 아티스트와 제작인력과 만나는 초국적 제작 시스템이 핵심이다. 유 직무대행은 “글로벌 협업을 통해 보다 다양한 색채를 담은 콘텐츠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며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고, 이용자의 취향을 파악해야 하고, 다양한 서비스 전략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넥스트 K를 위한 밑거름으로 글로벌 진출 확대가 꼽혔다. 유 직무대행은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초현지화 전략 △지식재산(IP) 연계를 통한 연관산업 진출 확대 △중동, 아프리카, 남미 등 새로운 해외판로 개척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콘텐츠 기업 간 합병과 협업 움직임이 강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기업간 협업으로 기획단계부터 IP를 공동으로 개발해 리스크를 분산하기도 하고, 해외 파트너와의 협업도 강화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유 직무대행은 “최근 티빙과 웨이브 합병이 임박했다는 소식이 들리며 넷플릭스와 경쟁할 수 있는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561(OTT561)를 만들 수 있을 것인가 관심이 모아진다”며 “연합 전선은 다양하다. 가입자를 확보하기 위해서라면 기업들은 경쟁 기업과도 손잡을 준비가 됐다”고 설명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