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지방자치단체들이 저출산·고령화 위기에서 인공지능(AI) 도입으로 행정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최근 발간한 '해외 지자체의 AI 활용 사례와 도입 과제' 보고서를 통해 세계 지자체들이 인구 및 세수 감소 위기의 해법으로 AI 활용을 늘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해외 지자체들은 급변하는 기술 발전에 맞춰 생성형 AI 등을 빠르고 적절하게 도입·활용하면 자원 절약과 공공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구체적으로 AI 활용이 가능한 분야로 △데이터 분석을 통한 공공 서비스 개선 △스마트한 인프라 관리 △시민 참여 확대와 민원 처리 효율화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개선 △에너지 관리와 환경 보호 등이 꼽혔다.
대표적으로 영국은 지자체 재정난 부담이 증가하는 가운데 AI 도입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국 지자체협회(LGA) 조사에 따르면 많은 지자체가 다양한 공공서비스에 생성형 AI를 적용하고 인사 관리·조달·재정·사이버 보안 등 부서에서 효과적으로 사용 중이라고 보고했다.
영국 블랙풀 지역은 영국에서 처음으로 AI 기술을 도입해 도로 유지보수를 최적화하고 비용을 절감했다. 포트홀(도로에 생긴 구멍)으로 인한 사고와 보수비용이 증가하자 문제 해결에 착수했고, 2019년부터는 AI로 도로 손상 위치를 빠르게 파악·관리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블랙풀은 도로 유지보수에 AI 시스템을 활용해 수리 우선순위 식별 등을 하면서 기존 인력 작업과 비교해 연간 100만파운드(약 18억원) 이상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했다.
고령인구가 급증하는 일본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 업무 증가에 따라 지자체 인력이 부족하자 AI 등 첨단기술을 본격적으로 적용하기 시작했다.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에선 2023년 4월부터 '챗GPT' 도입을 시범 개시, 약 80%의 직원이 업무 효율성 향상을 경험했다. 아이치현 도요타시에서는 AI를 활용한 누수 탐지 시스템을 통해 조사 기간 단축은 물론 약 10분의 1까지 조사위탁 비용을 절감했다.
보고서는 AI 도입 활용을 위해 시급한 해결과제는 인재와 예산, 데이터라고 분석했다.
AI·클라우드 사업이 기존의 유지·보수 중심의 정보화 사업과 비교해 대규모 예산이 필요하고 도입 전후의 효과성 검증이 어려운 점도 활성화를 늦추는 걸림돌이라고 봤다.
이정아 NIA 수석은 “국내·외 모두 AI 활용 시 지자체 인재와 예산이란 난관에 봉착한다”며 “지자체가 가장 많은 데이터를 확보한 분야를 중심으로 작게 시작해 성공사례를 만들고 단계적으로 확대해나가는 것이 바림직하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
김명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