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소재 R&D 투트랙 체계 강화...기술 조기 선점으로 글로벌 공급망 확보

100대 첨단소재 및 미래소재. 과기정통부
100대 첨단소재 및 미래소재. 과기정통부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핵심이 되는 첨단소재 기술의 조기 선점을 위해 첨단소재 연구개발(R&D)을 투트랙 체계로 추진한다. 첨단소재 기술 성장 지원 체계 마련을 위해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중심 원천기술 고도화도 지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제51회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첨단소재 R&D 발전전략을 논의했다.

이번 전략은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핵심이 되는 첨단소재 기술의 조기 선점을 추진하고자 마련됐다.

우선 글로벌 공급망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100대 첨단소재(5년 내외), 100대 미래소재(10년 이상)로 구분하는 투트랙 R&D 체계로 강화한다.

특정 국가에 높은 대외 의존도 등으로 공급망 리스크가 높은 100대 첨단소재를 발굴하고, 향후 5년 내외로 조속한 원천기술을 확보해 사업화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높여나갈 계획이다.

이와 함께 10년 이상 중장기 미래 기술혁신에도 선제적으로 대비해 국가전략기술 분야 중심으로 100대 미래소재에 대한 R&D를 차질없이 지원해 10년 이후의 초격차 원천기술 확보도 병행해 나간다.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과가 다양한 분야로 활용·확산될 수 있도록 첨단소재 기술 성장지원 체계도 새롭게 구축한다.

출연연을 중심으로 소재 분야 연구자 및 수요·공급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첨단소재 기술 성장 협의체(가칭)'를 구성해 우리나라 소재 원천기술 현안 대응력을 높인다.

또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장을 저해하는 기술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원천기술 매칭·고도화, 스케일업 기술 난제 해결 등을 지원하는 첨단소재 원천기술 성장 R&D 프로그램도 추진된다.

특히 원천기술 사업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연구 기획 단계에서 기업 참여를 높이고, R&D 단계에서는 지재권 확보 지원, 부처 간 이어달리기 협력사업 등 소재 연구 R&D 프로세스도 개선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첨단 연구를 위한 소재 기술혁신 생태계도 조성한다. AI 활용 연구를 소재 연구에 도입하기 위한 소재 연구 AI·데이터 생태계 플랫폼 기능을 확대하고, 소재 전문가, AI 전문가 등이 공동으로 연구하는 소재 연구 HUB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

이외에도, 디지털 연구 방법론에 특화된 소재 연구 인력양성은 물론 기업 현장 신진 연구인력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젊은 과학자가 글로벌 연구자와 협력하는 기회도 확대하는 사업(글로벌 영커넥트)을 추진할 계획이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과학기술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시점에서 첨단소재 분야는 반도체, 이차전지 등 주요 전략기술 분야 기술력을 좌우하는 핵심 동력원”이라며 “이번 전략을 토대로 과학기술 관점에서 글로벌 공급망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현재와 미래를 고려한 소재 원천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