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협의회' 첫 실무회의, 명칭·참석자만 정했다

정부와 국회가 국정 안정 방안을 모색할 여야정 협의체의 공식 명칭이 '국정협의회'로 결정됐다. 참여 대상자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다. 여야간 대립이 첨예한 상황에서 협의회 첫발은 내딛었지만, 서로의 안건을 얼마나 수용할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김상훈·진성준 여야 정책위의장은 9일 첫 실무 협의를 갖고 이 같은 내용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양당은 이날 협의회 구체적 의제에 대해선 확정하지 못했다.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등이 국정협의체 첫 실무협의를 하고 있다. 이날 협의에는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당대표 비서실장·진성준 정책위의장, 조오섭 국회의장 비서실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강명구 비대위원장 비서실장,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곽현 정무수석비서관이 참석했다.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등이 국정협의체 첫 실무협의를 하고 있다. 이날 협의에는 더불어민주당 이해식 당대표 비서실장·진성준 정책위의장, 조오섭 국회의장 비서실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국민의힘 김상훈 정책위의장·강명구 비대위원장 비서실장,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곽현 정무수석비서관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선 각 참여 주체가 요구하는 의제들을 서로 공유하는데 그쳤다. 논의 테이블에 올려진 의제도 일체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그간 정부와 여당은 반도체산업특별법, 국가기간전력망 확충법, 고준위 방폐장법, 해상풍력법 등 미래 민생 먹거리 4법 처리를 요구해 왔다. 또 내란 사태 이후 제왕적 대통령제의 한계에 대한 지적이 커지면서 권력구조 개편을 위한 '개헌 특위' 구성도 제안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야당은 조기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등을 협상 테이블에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진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정책조정회의에서 “국정협의회 실무협상에서 추경(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제1 의제로 제기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안건을 공개 하지 않은 데 대해 김 정책위의장은 “첫 실무 협의에서는 (의제에 대해) 바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며 “양당 대표에게 논의된 내용을 보고해서 의제별로 이견을 좁힌 후 다시 만나서 협의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진 정책위의장도 “의제들에 대해 각 당에서 내부 논의를 거친 후 다시 한 번 실무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당과 정부, 국회의장 측은 조만간 두 번째 실무협의를 열어 국정협의회 의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정한다는 방침이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