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가 공공 AI 전면 도입 원년”…공공 AX 종합대책도 수립

정영준 행정안전부 기획조정실장(맨 왼쪽)이 지난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행정안전부 주요업무 추진계획에 대한 사전 합동브리핑 발표를 하고 있다. 행안부 제공
정영준 행정안전부 기획조정실장(맨 왼쪽)이 지난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행정안전부 주요업무 추진계획에 대한 사전 합동브리핑 발표를 하고 있다. 행안부 제공

정부가 올해를 '공공 인공지능(AI) 전면 도입 원년'으로 삼고, 이를 위한 활용 기반 마련과 정책·시스템 도입에 본격 착수한다.

행정안전부는 1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올해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행안부는 상반기 중 '공공부문 AI 대전환(Gov AX) 종합대책'을 수립한다. AI 대전환 시대를 맞아 공공이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대민서비스를 혁신하는데 AI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종합대책에는 △AI 활용 저해 사전평가(법령 또는 규정 가운데 AI 활용 저해 사항 평가 방안) △AI 리터러시 활용 촉진 △AI 영향평가·윤리원칙 등 공공에서 AI를 활용함에 있어 필요한 주요 내용을 담는다.

AI 활용 시스템을 전면 도입한다. 우선 '범정부 AI 공통기반'을 구축해 기관별 AI 도입으로 인한 중복 개발을 방지하고 AI 시스템 표준을 제시한다. 지난해 이를 위한 정보전략계획(ISP)을 수립했고 이를 기반으로 올해 범정부 AI 공통기반 체계를 구현한다. 내년부터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능형 업무관리플랫폼, AI 공통지원서비스(보고서·보도자료 작성, 민원 상담 등 범부처 활용 가능 AI서비스) 등 공공에서 AI 활용을 돕는 각종 시스템도 구축한다.

AI의 핵심인 데이터 활용을 촉진한다. 기관별 분산된 AI 학습용데이터를 수집·축적(25만건)한다. 이를 모든 기관이 활용하도록 공유하는 국가공유데이터 플랫폼을 연내 구축한다.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지 않던 다양한 유형의 비정형데이터(이미지, 텍스트 등)와 재현데이터 방식(원천데이터와 유사한 패턴의 가상데이터)을 활용한 데이터 개방도 지원한다.

공무원이 AI를 제대로 이해하고 활용하도록 돕기 위해 'AI 리터러시'를 강화한다. 대상별(관리자, 실무자, IT담당 등)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서 운영한다. 인사처와 협의해 공무원 직급별 교육과정에도 AI 활용 교육을 반영한다.

이밖에 행안부는 지난해 12월 9개 지자체에 시범 도입한 모바일 주민등록증 서비스를 전국 어디서나 이용하도록 올해 1분기 내 전면 개통한다. 구비서류 제로화 대상 서비스를 지난해 421개에서 올해 900개까지 확대한다.


정영준 행안부 기획조정실장은 “올해 디지털정부 분야 핵심 정책과제는 공공부문에 AI를 전면 도입·활용하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 것”이라며 “범정부 AI 공통기반을 비롯해 AI를 적극 활용하기 위한 각종 시스템을 구축하고, 국가공유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기관별로 분산된 데이터 활용성도 높이겠다”고 말했다.

공공 AI 전면 도입·활용 핵심 정책과제. 자료=행안부
공공 AI 전면 도입·활용 핵심 정책과제. 자료=행안부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