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인구동태패널통계 개발…“정부 정책 뒷받침”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통계청이 나이, 거주지, 근로소득 등 사회·경제적 특성이 혼인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통계 개발에 나선다. 국가전략기술 등 신산업 육성 지원을 위한 '산업 특수분류' 개발도 추진한다.

통계청은 21일 이같은 내용의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인구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사회 통계 개발에 착수한다. 개인의 경제·사회적 특성에 따른 혼인·출산 현황을 다루는 '인구동태패널통계'를 새로 개발한다.

인구동태 코호트 데이터베이스와 통계등록부 등 행정자료를 결합해 1983~1995년생의 생애사건 변화를 추적·관찰하고 거주지와 근로소득 수준, 취업 활동 등에 따른 혼인·출산 정도를 분석할 계획이다.

출산·육아 현황을 더 세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유배우 출산율 지표를 개발하고 육아휴직 통계도 추가 개발한다.

경제통계도 현실 반영도를 높인다. 소비지출 변화를 반영해 소비자물가지수를 개편하고 신속한 경기 파악이 가능하도록 속보성 경제지표도 개발한다. 고립·은둔 인구, 가족 돌봄, 주거 취약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통계도 개발한다.

5년 주기로 실시하는 3대 총조사를 올해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데도 집중한다. 100년을 맞은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사회 변화상을 반영한 조사항목을 선정하며 조사 전 과정을 디지털화해 조사 효율성을 높인다.

통계청은 또한 공공-민간 데이터 협력과 연계를 통해 융합데이터를 확충하고, 통계데이터센터 이용도 활성화할 방침이다. 국민들이 쉽게 통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통계정보 플랫폼 및 '원포털' 구축도 추진한다.

첨단 바이오 등 12대 국가전략기술을 중심으로 신산업 육성·지원을 위한 수요 맞춤형 특수분류 개발도 확대한다.

아울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통계생산 혁신 등 디지털 조사 기반을 확충하고, 조사 환경을 개선해 조사 품질도 높일 방침이다.

이형일 통계청장은 “올해는 인구주택총조사 100년을 맞는 의미 있는 해”라며 “2025 인구주택총조사와 농림어업총조사를 차질없이 진행하고 국가정책을 뒷받침할 통계 생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