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소상공인 AI 활용도 높인다

중기부, 정책자문단 출범
과제 발굴·법적 기반 마련
오영주 “맞춤형 지원할 것”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가운데)이 2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빌딩에서 열린 '중소기업 인공지능(AI) 정책자문단 킥오프 회의'에서 이날 위촉된 자문위원들과 기념 촬영했다.(사진=중소벤처기업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가운데)이 2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빌딩에서 열린 '중소기업 인공지능(AI) 정책자문단 킥오프 회의'에서 이날 위촉된 자문위원들과 기념 촬영했다.(사진=중소벤처기업부)

중소벤처기업부가 산·학·연 각계 인공지능(AI) 전문가로 구성된 정책자문단을 출범하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AI 도입과 법적 기반을 마련한다. 중소기업·소상공인들이 정보 부족과 수익성 불확실성으로 AI 도입이 저조한 현실을 반영한 조치다.

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 AI 활용·확산을 위해 '중소기업 인공지능(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킥오프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에 앞서 정책자문단의 자문위원 11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이날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한국 중소 제조업 AI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제조 AI 혁신을 추진 중이지만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다”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AI 활용 및 확산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기부는 AI를 경제 새로운 동력으로 삼기 위해 큰 로드맵을 구상해왔다”고 덧붙였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AI 기술 도입·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를 발굴하고, 이를 뒷받침할 (가칭) 중소기업 AI 활용·확산 촉진법을 마련하기 위해 구성됐다.

AI는 기술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고 혁신 성과를 이끄는 핵심 엔진으로, 기업 경쟁력에 직결된다. 하지만 지난해 중소기업중앙회 실태조사에 따르면 중소기업 94.7%가 AI 활용 방법을 몰라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자문단은 AI 기본법 중소기업 관련 규제 대응 방안, 정부 중점 지원 과제, 해외 우수 정책 벤치마킹, 학습 데이터 확보·공유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정책과 법안 마련을 위한 실질적 과제를 제안한다.

또 중소기업 관련 기관과 단체를 대상으로 AI 도입 현황과 애로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최수정 정책자문단 간사(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는 “AI 기업 성장 애로 해소, 학습 데이터 확보, AI 기업 발굴·성장 지원 등을 포함한 정책이 논의되고 있다”며,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법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중기부는 정책자문단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컴퓨팅 파워와 학습 데이터 확보, 자금 지원, 전문 인력 양성 등 주요 분야별 정책 과제를 도출할 예정이다. 특히 이를 구체화한 (가칭) 중소기업 AI 활용·확산 촉진법을 통해 정책 추진의 근거를 마련할 계획이다.

오영주 장관은 “AI 시대를 맞아 중소기업, 소상공인, 벤처·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AI 레벨업 전략을 추진하며 디지털 전환 기반을 다지고 있다”며 “앞으로는 공급자와 수요자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중소기업 특성에 맞춘 맞춤형 지원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