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촬영=현대인 기자]](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2/09/news-p.v1.20250209.4c4c870dc98e472fbd1d5c027af77c57_P1.jpg)
정부가 최대 2조5000억원이 투자되는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AI컴퓨팅 자원에 대한 수요 파악이 제대로 이뤄지고, 국내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길 바란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를 열고 현장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먼저, 정부 인센티브 관련 질의가 오갔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대출이나 출자 외의 정부 인센티브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국가 AI컴퓨팅 센터가 구축되면 국내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 갖게 된다”며 “공급에 대응해 수요를 창출하는 방향으로 인센티브 마련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다만, 현장에서 기자와 만난 인공지능(AI) 기업 관계자는 “정부가 AI컴퓨팅 센터 자원에 대한 수요를 얼마나 파악했을지 의문”이라며 “특히나 트렌드 변화 속도가 빠른 AI 산업에서 명확한 수요 파악은 필수”라고 강조했다.
특히 센터 입지가 비수도권인 점에서 수요파악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정부는 국가 AI컴퓨팅 센터는 수도권 전력난, 지역 균형발전 등을 고려해 비수도권에 구축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그럼에도 현장에서는 '센터를 수도권에 구축하는 것은 안 되는가'라는 질문이 제기됐다.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지역 균형발전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비수도권에 설치된 센터가 정작 해당 지역보다는 자원 수요가 높은 외부에 공급될 수 있다”며 “명확한 수요처 파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설명회에는 통신사, 건설사, 하드웨어 기업, 소프트웨어 기업 등 다양한 분야 기업 관계자로 인산인해를 이뤘다. [촬영=현대인 기자]](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2/09/news-p.v1.20250209.d9c66b26ed3a416d96f6bdec055538ef_P1.png)
현장에서는 국내외 기업 간 협력에 대한 논의도 오갔다.
정부는 글로벌 기업 참여 및 구체적 협력방안 마련을 통해 국내 AI컴퓨팅 생태계의 글로벌화를 추진하는 것을 이 사업 정책 목표로 설정했다. 또한 복수의 클라우드·통신 사업자 간 컨소시엄 구성 시 우대한다고 명시했다.
정보기술(IT) 대기업 관계자는 “사업참여의향서 제출 마감까지 몇 주 남지 않아 컨소시엄 구성을 위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대기업들은 사업자 선정 시 우대받을 수 있도록 수싸움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이름만 대면 알 만한 한국 대기업과 함께 이 사업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 중견·중소 기업 관계자 등은 국내 기업이 다수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줘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건설사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사실상 대기업 간 합종연횡 경쟁으로 보인다”며 “규모가 작은 국내 기업들은 오늘 설명회에서 만난 대기업 관계자들과 함께하기 위해 애쓰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기업 관계자는 “국내 통신 사업자는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 등과 손을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국내 핵심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인 만큼, 국내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해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기회를 열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