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美와 핵융합 협력 공식 추진…지역 기업 프로젝트 참여 지원

대전시는 13일 기초과학연구원 과학문화센터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사진 가운데)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핵융합 산업협력 국제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
대전시는 13일 기초과학연구원 과학문화센터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사진 가운데) 등이 참석한 가운데 '핵융합 산업협력 국제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

대전시가 미국과 미래 청정 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핵융합 산업 육성을 위해 협력한다. 국내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미국 에너지부 승인을 받고 핵융합 분야 협력을 공식 추진한다.

대전시는 13일 기초과학연구원 과학문화센터에서 '핵융합 산업협력 국제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오영국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장, 리차드 존 버터리 미국 제너럴아토믹스(GA) 자기핵융합에너지(MFE) 그룹 부사장 등이 참석해 핵융합 기술개발 및 산업 육성을 위한 상호 협력을 약속했다.

참여기관은 협약에 따라 미국 국립 핵융합 연구 시설(DⅢ-D) 개방 및 연구 지원, 한국·대전시 관련 기관 DⅢ-D 프로그램 협력 강화, 핵융합 기술 공동 발전·상호 목표 달성을 위한 지역 민간 산업 파트너들과 협력 등을 위해 노력한다.

DⅢ-D는 미국 국립 핵융합 연구 시설로 미국 에너지부(DOE)가 소유한 과학 연구 시설이다. 현재 미국 핵융합에너지 앵커기업인 제너럴아토믹스 그룹이 운영하고 있다. 제너럴아토믹스는 이날 1시간가량 DⅢ-D 프로젝트 추진 현황과 전망, 한국기업 참여 방법을 직접 소개하는 설명회도 진행했다.

대전시는 협약을 계기로 지역 기업이 미국 핵융합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핵융합에너지연구원과 공동으로 사업 분석을 진행하고, 기술 역량과 자격을 갖춘 지역 기업을 선별해 지원한다.

이장우 시장은 “핵융합에너지는 인공지능(AI) 시대 전력 수급의 핵심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며 “미국 에너지부 승인을 받아 전국 지자체 중 최초로 핵융합 분야 협력을 공식 추진하게 된 만큼 앞으로 지역 기업이 핵융합에너지 상용화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매출 증대, 고용 확대 등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이날 협약식과 함께 '2025년 핵융합산업 상생한마당'이 열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2023년에 이어 올해도 대전시와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 공동 기획한 행사다. 핵융합 분야 신기술 소개 및 기술이전, 기업 수출지원, 패밀리 기업 간담회, 전시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황판식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핵융합에너지 실현 가속화를 위한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나라 핵융합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과기정통부는 핵융합 기업들과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을 바탕으로 핵융합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양승민 기자 sm104y@etnews.com, 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