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인공지능(AI) 5개년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행정 혁신과 도내 첨단산업 육성이 목표로,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첫 AI 종합계획 추진 사례다.
16일 AI업계에 따르면, 경기도는 '경기도 AI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컨설팅을 조만간 시작한다. 연내 종합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행정, 도내 기업 혁신과 도민 삶의 질 향상에 AI를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도의회가 제정한 'AI 기본 조례' 등에 근거해 향후 5년간 추진할 AI 전략이나 법·제도 사안, 앞으로 AI 활용 방향성, AI 기반 업무와 행정 효율, AI 산업 육성 등 AI 관련 내용을 망라해 종합계획을 수립한다.
도 전역에 행정·안전·복지·관광·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와 데이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반 조성이 목표다. AI 도입·빅데이터 활용을 통한 행정서비스 고도화, AI·데이터 기반 혁신 비즈니스 모델 발굴, 신뢰받는 AI 구현을 위한 AI 윤리 정립과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추진한다.
경기도에 맞는 AI·데이터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비전과 목표도 마련한다. 도내 AI 산업 육성 차원이다. AI 클러스터를 지정해 AI 기술을 활용하는 유망 벤처·스타트업을 지원하는 등 AI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도내 기업과 입주사 간 기술 교류도 적극 이끌어낼 방침이다.
또 AI 정책을 위한 도지사 직속 자문기구 '인공지능위원회(가칭)'를 구성할 예정이다. 역할은 서울시의 AI 산업육성 전략 자문회의와 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는 AI 행정과 공공 서비스, 산업 육성 등에 대한 자문 역할을 담당할 경험과 학식을 갖춘 AI 전문성이 있는 학계나 기업인들로 위원회를 구성할 방침이다. 늦어도 2분기 중 활동 시작이 목표다.
경기도 관계자는 “컨설팅 결과와 대내외 자문 등을 통해 AI 기술을 도내 행정, 공공 서비스, 산업 육성 등에 적극 활용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할 것”이라며 “연말에 공식 발표하고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정책과제를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가AI위원회가 국가 차원 AI 산업·기술 육성을 이끌고 서울시가 '글로벌 AI 혁신 선도 도시'를 선언한 가운데, 경기도까지 AI 도입·활용에 적극적으로 임하면서 전국으로 AI 행정과 대민 서비스가 확산될지 관심이 모인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 수원=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