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공지능(AI)위원회 전체회의가 이번주 개최된다. 지난해 12·3 계엄 이후 첫 전체회의다.
미국·중국 등 글로벌 AI 동향 점검은 물론,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 전략 등 범정부 정책·과제를 공유하고 민간 전문가 의견을 청취할 전망이다.
17일 AI업계·학계에 따르면 오는 20일 제3차 국가AI위원회가 개최된다. 국가AI위원장은 물론, 염재호 부위원장(태재대 총장) 등 민간위원과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정무위원을 포함해 40여명이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지난 11일 폐막한 '파리 AI 행동 정상회의'에서 확인됐듯 세계적인 AI 정책·산업 패러다임이 진흥과 혁신 중심으로 전환되는 가운데 이번 회의를 기점으로 진흥 중심의 국가 AI 전략 수립이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픈AI와 딥시크 등 미·중 기업의 선도적인 성과에 각국 경쟁이 본격화되며 'AI 3대강국(G3)' 도약이 목표인 우리나라는 자체 AI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국가AI위원회는 3차 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 전략과 최대 2조5000억원이 투입될 AI 컴퓨팅 인프라 발전전략을 공유하고 논의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1분기 발표를 목표로 규제 개선과 연구개발(R&D), 인재 양성을 종합 지원하는 AI컴퓨팅발전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또 중소벤처기업부가 기업의 AI 활용·확산 지원방안을 공유하고,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AI 시대 개인정보 정책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국내에도 AI 관련 창업이 이어지고 세계적으로 기업용 AI 솔루션 활용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국내 중소·벤처기업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차원이다. 또 학습용 데이터 등 AI 관련 개인정보 이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가AI위원회는 올해 들어 부위원장 주재로 5·6차 운영위원회를 열고, 이틀간 자체 워크숍도 개최하는 등 분과별 논의와 위원회 주도로 추진할 '시그니처 정책' 발굴 노력을 지속했다. AI안전연구소를 싱크탱크로 활용하는 방안 등 앞서 개별 분과 차원 논의가 선행된 만큼 이번 전체회의에서 국가 AI 정책 방향이 구체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학습용 데이터, 보안, 미국·중국 등 해외 국가와 같은 전폭적인 지원방안이 마련되고 정책 추진 일정이 보다 빨라지길 기대한다”며 “대다수 부처가 연초 업무보고에 AI 관련 내용을 담는 등 중복 정책과 규제에 대한 우려가 큰 만큼 국가AI위원회가 구심점 역할을 해달라”고 말했다.
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