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녹위 2기 출범…'2035 NDC' 7월 나온다

AI·수소·CFE 기후테크 강화
의견수렴 거쳐 9월 UN 제출
崔 대행 “에너지 안보 확보
SMR 등 신기술 적극 지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제2기 출범식에서 민간위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제2기 출범식에서 민간위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정부안을 7월 공개한 후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해 9월까지 유엔(UN)에 제출한다. 인공지능(AI), 수소, 무탄소에너지(CFE) 등 기후테크 전문가를 중심으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2기를 꾸려 기존 '2030 NDC' 40%보다 도전적이고 실현가능한 감축목표를 제시할 전망이다.

대통령 직속 2050 탄녹위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최상목 국무총리 직무대행 주재로 '제2기 탄녹위 출범식'과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제2기 탄녹위 핵심과제 △2035 NDC 수립 추진상황·계획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계획 등 안건을 의결했다.

최 대행은 “기후위기 대응과 함께 에너지 안보도 확보하며 탄소 경쟁력을 향상시키겠다”면서 “재생에너지 확산을 위한 제도 개선과 투자를 지속하고 SMR(소형모듈원자로) 등 새로운 원전 기술 확보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열린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연합뉴스.

탄녹위 2기는 한화진 민간위원장(전 환경부 장관)이 국무총리와 공동위원장을 맡으며, 위촉직 위원(35명), 당연직 위원(21명) 등 총 58명으로 구성된다. 위촉직에는 AI융합, 그린수소, 태양광, 해양플랜트, 원자력 등 기후테크 전문가들이 다수 포진했다.

탄녹위 2기는 '2031~2049년, 온실가스 감축 장기 비전'을 마련해 미래세대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감축 정책을 일관성있게 추진할 계획이다. 더불어 △과학기술을 통한 탄소중립 △에너지 전환 가속화 △기후테크 산업 활성화 △녹색금융 지원 강화 △글로벌 규제 대응 등 핵심 정책과제를 추진키로 했다.

특히, 정부는 '파리협정 진전 원칙'에 따라 도전적이고 실현가능한 감축목표를 설정한다는 기본방향 하에 '2035 NDC'를 수립할 계획이다.

지난해 3월부터 올해 1월까지 관계부처 추천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작업반에서 100여회의 논의 과정을 거쳐 감축 시나리오를 도출했다. 상반기 중 정부안을 마련해 7월께 공개할 예정이다. 산업계·시민사회·노동계·미래세대 등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하고 사회적 공론화 과정을 거쳐 9월 중에는 최종안을 UN에 제출한다. 파리협정에 따라 모든 당사국은 5년마다 NDC를 제출해야 한다. 한국 정부는 2020년 12월 '2030 NDC'를 국제사회에 제시했다. 당초 2017년 대비 2030년까지 24.4% 감축을 목표했다가, 이듬해 2018년 대비 2030년까지 40%로 상향했다.

또한 환경부는 연내 관계부처 합동으로 탄녹위 심의를 거쳐 '2026~2030년, 제4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대책'을 확정할 계획이다.

4차 대책에는 최근 기후위기로 인한 농·수산물 가격 변동성을 완화하고 기후보험 상품을 개발하는 민생안정안이 포함된다. 폭염·홍수 등 사회기반시설도 정비하고, 취약계층 유형·우선순위에 따라 지원책을 개선할 계획이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