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경제 재도약을 위한 '인공지능 대전환 시대의 AI 전환(AX) 정책 포럼'이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 이번 포럼은 정태호 국회의원(기획재정위원회 위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생성형AI연구원(이하 연구원)이 주관했다.
노규성 한국소프트웨어기술인협회장은 개회사에서 “정치적,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생성형 AI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면서 “대한민국이 글로벌 AI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정책적 대응과 전략 수립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그는 AI 전환(AX) 가속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며, 정부의 대대적 정책 전환을 강조했다.
환영사를 맡은 정태호 의원은 “생성형 AI는 산업 혁신과 국가 경쟁력 핵심 요소로 AI 자립 생태계 구축과 기술 인재 확충이 중요하다”라면서 “혁신과 포용이 함께하는 생성형 AI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기업, 정부, 사용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이 진행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생성형 AI의 최신 기술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이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첫 번째 발제에서 이승희 금오공대 교수는 '생성형 AI 관련 주요 이슈 및 정책적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생성형 AI의 기술적 발전과 함께 윤리적 문제, 데이터 보호, 지식재산권 등 이슈를 짚으며 “안정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명확한 가이드라인과 법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발제에서는 임춘성 인공지능연구원 부사장이 '생성형 AI의 국제 진흥 동향과 한국의 대응 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국가의 생성형 AI 정책을 비교하며 “우리나라도 AI 연구개발과 상용화를 적극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글로벌 AI 패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데이터 개방, AI 교육 확대, 규제 완화 등 전략을 제안했다.
화상으로 중국 현지에서 특별이슈를 발표한 김준연 한중과학기술협력센터장은 '딥씨크(DeepSeek) 출현과 중국의 AI 정책 대응'을 분석했다. 그는 중국 AI 정책 변화와 딥씨크 같은 새로운 AI 모델이 중국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하며 “중국은 국가 주도로 AI 기술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한국도 이에 맞는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딥씨크는 기존 AI 모델 대비 높은 비용 효율성과 연산 최적화를 이루며, 한국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패널토론에서는 정명애 대한의료데이터협회장, 유정수 전주교육대 교수, 신기윤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혁신성장실 부연구위원이, 이어진 회원토론에서는 배석한 한국생성형AI연구원 회원들이 생성형 AI의 연구개발, 정책 지원 방안, 인재 양성 정책 등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을 통해 참석자들은 생성형 AI의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 대안 마련 필요성에 공감했다. 앞으로도 연구원은 경제 재도약을 위한 AI 전환 정책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를 통해 한국 AX 경쟁력 강화에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김현민 기자 min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