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수입산 대체할 '전립선 건강 기능성 원료' 개발…“하반기 제품 양산”

참당귀 황기 절편과 인체적용시험 약.(사진=농촌진흥청)
참당귀 황기 절편과 인체적용시험 약.(사진=농촌진흥청)

전립선 건강 기능성 원료 시장에서 수입산을 대체할 국산 원료가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국내산 참당귀와 황기 복합물이 남성 전립선 건강에 효과가 있음을 인체적용시험과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요도를 감싸고 있는 전립선이 비대해지면 소변이 자주 마려운 빈뇨나 밤에 소변을 보러 일어나게 되는 야간뇨, 소변을 본 뒤에도 시원하지 않은 잔뇨감 등으로 삶의 질이 떨어진다. 전립선 건강에 도움을 주는 건강기능식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지만 한 해 시장 매출액의 87%(367억 원)를 차지하는 원료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농진청은 경희대, 세브란스병원, 동탄성심병원, 산업체와 2년간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참당귀와 황기 복합물 기능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했다. 인체적용시험은 전립선 증상이 있는 만 40~75세 남성 100명을 두 집단으로 나눈 뒤, 한쪽에는 참당귀와 황기 추출물을 2대 1로 섞은 복합물을 하루 0.6g씩, 다른 쪽은 가짜 약을 각각 12주씩 섭취케 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참당귀와 황기 복합물을 먹은 집단은 국제전립선증상점수 주요 증상 항목인 잔뇨감, 야간뇨 등이 유의적으로 개선됐다.

전립선증상점수 총점을 보면 참당귀·황기 복합물 섭취 집단은 복용 전보다 점수가 26% 감소했지만, 가짜 약을 먹은 집단은 증상점수 총점이 11% 감소하는 데 그쳤다. 특히 잔뇨감 점수는 참당귀·황기 복합물 섭취 집단에서 37%가 감소했지만, 가짜 약 집단은 오히려 9% 증가했다.

동물실험에서도 참당귀·황기 복합물을 먹인 실험동물은 전립선 무게가 39% 줄었고, 전립선 성장 관련 인자가 유의적으로 감소했다.

농진청은 국내 특허 출원을 마치고 기술이전 업체와 원료수급 등을 협력 중이다. 국산 원료로 만든 제품은 올 하반기 본격적으로 양산할 계획이다.

김명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장은 “국내산 약용작물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은 수입 원료 대체 효과는 물론, 약용작물 산업을 활성화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약용작물 기능성 소재 발굴과 원료 개발을 지속함으로써 국민 건강과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