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툴리눔 톡신 시술 빈도 증가, 내성 의심 38%

24년도 보툴리눔 톡신 소비자 설문조사
24년도 보툴리눔 톡신 소비자 설문조사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술이 고용량·다빈도화하면서 효과 감소나 내성을 경험한 소비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이하 위원회)는 2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도 보툴리눔 톡신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국내 보툴리눔 톡신 시술은 고용량, 다빈도화 되고 있는 반면에 효과 감소를 경험하거나 내성 발생이 의심되는 소비자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원회는 2023년, 2024년 2개년에 걸쳐 국내 만 20-59세 여성 1000명 대상 보툴리눔 톡신 관련 소비자 조사를 진행했다. 1년 동안 2회 이상 톡신 시술을 받는 소비자의 비율은 2023년 56%에서 2024년 59%로 증가했으며 한 번에 두 부위 이상 시술을 받는 소비자 비율 또한 51%에서 55%로 늘어났다.

허창훈 분당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위원회 전문위원)는 “이번 조사에서 톡신 효과 감소를 경험했다고 응답한 소비자가 23년 대비 1% 소폭 증가해 75%로 확인됐고, 내성이 발생한 것으로 의심된다고 응답한 소비자 비율도 2% 소폭 증가하여 38%”라며 “보툴리눔 톡신 시술이 고용량, 다빈도화 되면서 내성 의심 소비자는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박제영 압구정오라클피부과 대표원장(위원회 전문위원)은 “그럼에도 이번 조사에서 고무적인 부분은 시술 상담 시 '내성 발생 가능성 차이' 안내를 받았다는 비율은 23년 36%, 24년 46%로 증가해 의료진들이 의료현장에서 내성 가능성에 대해 설명해주는 노력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내성을 들어보았다는 응답에서는 전체의 '23년 86%, '24년 92%가 '그렇다' 라고 응답해 내성 인지도는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툴리눔 톡신 시술 상담 시 과거 이력에 대한 질문이나 안내를 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항상 질문 또는 안내를 받았다고 응답한 소비자 비율은 '23년도와 동일하게 여전히 23%에 그쳤다.

문옥륜 한국위해관리협의회 산하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 위원장은 “소비자들은 현명한 보툴리눔 톡신 시술을 위해 전문가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야 하며, 이를 통해 의료진과 소비자 모두를 위한 안전한 톡신 사용 문화가 정착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최근 개설된 위원회 웹페이지 내 사업소개, 연구자료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툴리눔 톡신 안전사용 전문위원회'는 2023년 10월 국내 보툴리눔 톡신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올바른 보툴리눔 톡신 사용 문화를 형성하고자 한국위해관리협의회 산하 소위원회로 출범했다. 문옥륜 서울대학교 명예교수가 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허창훈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교수, 박제영 압구정오라클피부과 대표원장 등 총 6명의 전문위원으로 구성돼 있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