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수장들 “내년 캐즘 끝…슈퍼사이클 대비”

LG·삼성·SK “46파이 양산”
기술력으로 中과 경쟁 우위
에코프로비엠·포스코 등
전고체 배터리 개발 분주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2025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엑스 주관으로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최주선 삼성SDI 대표(왼쪽부터), 김동명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LG에너지솔루션 대표), 신영대 국회 이차전지포럼 공동대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철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 김종민 산자위 위원이 LG에너지솔루션의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46시리즈를 살펴보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2025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엑스 주관으로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최주선 삼성SDI 대표(왼쪽부터), 김동명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LG에너지솔루션 대표), 신영대 국회 이차전지포럼 공동대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철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 김종민 산자위 위원이 LG에너지솔루션의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46시리즈를 살펴보고 있다.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46시리즈, 리튬574인산철(LFP), 셀투팩(CT785P), 고전압 미드니켈 등 기술을 바탕으로 중국 업체와 경쟁 우위를 만들겠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

“배터리 산업은 환경 정책과 관세 등에 많은 영향을 받아 어려움이 있지만 항상 변하지 않는 건 기술력이라고 생각한다.” (최주선 삼성SDI 사장)

5일 개막한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 모인 국내 주요 배터리 관련 기업 수장들이 전기차 시장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늦어도 내년이면 끝날 것으로 전망하면서 기술력으로 캐즘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배터리산업협회장을 맡고 있는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이날 배터리 업황 반등 시기에 대해 “1분기나 상반기 정도가 조심스럽지만 저점이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최주선 삼성SDI 사장 역시 “전기차 시장 캐즘이 상당히 지속돼 내년 상반기까지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면서도 “올해 1분기를 저점으로 2분기부터 점차 회복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포스코퓨처엠 엄기천 사장은 “전기차 캐즘에 대해 길게 보는 사람은 5년, 짧게는 1~2년을 얘기하는데 대부분은 3년 정도 생각하고 있다”며 “작년은 지나갔고 올해와 내년이 지나면 캐즘이 끝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다.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2025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엑스 주관으로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내빈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최종서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무, 이영준 롯데케미칼 대표,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대표,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대표, 이동기 코엑스 대표, 김종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최주선 삼성 SDI 대표, 이철규 국회 산자위원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동명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 신영대 국회 기재위 이차전지포럼 공동대표, 구자균  LS일렉트릭 대표, 박기수 SK온 부사장, 최수안 앨앤에프 대표, 박기덕 고려아연 대표, 김동춘 LG화학 부사장, 정외영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혁신성장본부장.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2025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코엑스 주관으로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내빈들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최종서 한국배터리산업협회 상무, 이영준 롯데케미칼 대표,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대표, 엄기천 포스코퓨처엠 대표, 이동기 코엑스 대표, 김종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 최주선 삼성 SDI 대표, 이철규 국회 산자위원장,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김동명 한국배터리산업협회장, 신영대 국회 기재위 이차전지포럼 공동대표, 구자균 LS일렉트릭 대표, 박기수 SK온 부사장, 최수안 앨앤에프 대표, 박기덕 고려아연 대표, 김동춘 LG화학 부사장, 정외영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혁신성장본부장. 이동근기자 foto@etnews.com

국내 배터리 업계는 캐즘 장기화와 더불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 변화, 중국 배터리 기업의 저가 공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신제품과 신기술을 준비하며 캐즘 이후 '슈퍼사이클'을 대비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은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인 46파이(지름 46㎜) 양산으로 앞서 나간다는 전략이다. 46파이 배터리는 기존 원통형 표준 제품인 지름 2170(지름 21㎜, 높이 70㎜) 배터리보다 에너지밀도와 출력을 대폭 향상시킨 제품이다.

김동명 사장은 “전시를 보면 46시리즈, 리튬인산철(LFP), 셀투팩(CTP) 등 제품으로 리딩(선도)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며 “이를 활용해 중국 업체와 경쟁에서 우위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서 4680, 4695, 46100, 46120 등 46파이 라인업을 공개한 삼성SDI는 “이름을 특정할 수 없지만 46파이 배터리 고객사를 확보했다”면서 “이미 샘플을 제출했으며 양산도 곧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기수 SK온 연구개발(R&D)본부장(부사장)도 “(46파이 배터리)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을 준비 중”이라며 “내부적으로 생산 기술에 방향성을 잡아서 차별화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전고체 배터리 기술 확보에도 분주하다. 특히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라고 할 수 있는 고체전해질 생산 경쟁이 뜨겁다.

에코프로비엠은 지난해 고체전해질 파일럿 라인을 구축해 시험 가동에 들어갔으며 양산 라인을 계획 중이다. 포스코JK솔루션도 2027년 양산을 목표로 고체전해질을 개발 중이다.

최문호 에코프로비엠 대표는 “3년 전부터 개발해 온 황화물계 전고체 전해질이 파일럿 스케일에서 과제 성과가 잘 나고 있어서 올해부터 양산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며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2026년 말 정도에는 대량 양산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정 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