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정부효율부(DOGE) 수장과의 '학맥'을 강조하며 한미간 위기 상황 극복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안 의원은 17일 서울 서초구 청계재단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을 예방한 후 “트럼프 대통령과 같은 학교를 나왔다는 말씀을 나눴고, (이 전 대통령이) 이 학맥에 대해서 한국보다도 미국에서 더 중요하게 생각하니까 그걸 정말 중요한 국가를 위한 자산으로 생각해서 잘 쓰라는 말씀을 주셨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이날 이 전 대통령에게 미국 에너지부가 지난 1월 초 한국을 '민감 국가'(Sensitive Country)로 지정한 것에 대한 의견을 물었고, 이에 이 전 대통령은 “외교를 잘해야만 이 위기들을 넘길 수 있다”면서 안 의원에게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의원은 트럼프 대통령, 일론 머스크 수장와 함께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 출신이다.
안 의원은 미국 에너지부가 우리나라를 민감국가로 지정하게 된 원인에 대해 “불안정한 정치 상황에 따른 문제”라며 “헌법재판소 판결이 나오고 나서 정상적인 정치 형태를 갖추면 그 리스트에서 빠질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은 “주미대사를 오래 하는 등 한미 관계 대응 경험이 있는 한 총리까지 (탄핵소추로) 묶여 있다. 이는 여당과 야당의 공동 책임”이라며 “여야가 협조해서 한 총리라도 빨리 (탄핵심판) 결론을 내서 되돌려보내 줘야 한다”고도 조언했다. 이어 그는 “(최재해) 감사원장은 기각했는데, 한 총리는 안 해줄 이유가 없지 않으냐”며 “국가가 위기에 처했을 때 대응하려면 한 총리라도 와서 있어야 하지 않느냐”고 덧붙였다.
아직 윤 대통령과 한 총리의 탄핵심판 결정 선고 기일은 아직 잡히지 않았다. 국민의힘은 헌재에 한 총리 탄핵심판을 먼저 선고하라고 주장하고 있고, 민주당은 윤 대통령의 신속한 파면을 요청했다.
이 전 대통령은 “위기 때는 하던 싸움도 중지해야 한다”며 “안 의원이 당이 화합하는 데 앞장을 서고, 의원끼리 내부 분열이 있으면 안 된다”고도 당부했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