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가 전략작물인 밀·콩·가루쌀 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식품기업 60개소를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올해 사업을 신청한 139개 업체의 전략작물 활용계획, 판매·유통 역량, 제품의 사업성 등에 대한 전문가 평가를 거쳐 총 60개 업체를 선정했다. 선정된 업체에는 전략작물을 활용한 시제품 생산, 포장, 소비자평가, 홍보까지 신제품 개발 전과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올해는 작년 보다 15억원 늘어난 99억원 사업예산을 투입한다.
국산밀을 활용한 제품도 빵, 떡볶이, 과자, 국수 등 다양하게 출시한다. '네니아'는 호떡꽈배기를 출시해 학교급식, 공공기관 등에 납품을 추진하고 '잇더컴퍼니'는 비건 우리밀쫀드기를 개발해 해외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올해 신규 선정된 '홍두당(근대골목단팥빵)'은 주요 인기품목인 단팥빵을 기존 수입밀에서 100% 국산 밀로 대체할 계획이다.
국산 콩으로는 두유 외에도 간장, 콩기름, 단백질 파우더 등을 개발한다. 매일유업은 국산 검은콩을 활용한 콩함량 99.9% 고단백 두유를 개발할 예정이며, 건국유업은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서리태 청자 5호를 건국유업 농장에서 직접 재배해 서리태 두유를 출시한다.
가루쌀은 빵, 과자, 면, 프리믹스, 음료 등에 활용도가 높다. 올해는 지자체와 지역기업이 협력해 가루쌀과 지역 특산물이 결합한 제품을 개발하는 '기획형' 공모를 첫 도입해 해남군과 관내 업체들이 가루쌀 해남 고구마빵을 개발할 계획이다. 지난해 가루쌀을 활용한 과일시루와 쌀베이글을 각각 출시했던 성심당과 CJ푸드빌(뚜레쥬르)은 케이크류와 식사용 빵류를 추가 개발할 계획이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밀·콩·가루쌀 등의 전략작물은 논에 벼를 대체해 심을 수 있어 쌀 수급안정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건강한 먹거리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순기능을 갖고 있다”면서 “정부는 전략작물이 산업으로서 조속히 자리잡을 수 있도록 수급안정과 수요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