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 10명 중 8명은 신조어 사용으로 인해 세대 간 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듀윌은 20~50대 성인 남녀 7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신조어' 관련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9.1%가 다른 세대와 대화할 때 신조어 때문에 어려움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고 18일 밝혔다.
응답 비율은 '가끔 있다'가 60.6%로 가장 많았고 '자주 있다'는 18.5%로 뒤를 이었다. 반면 '거의 없다'는 17.9%, '전혀 없다'는 2.9%에 불과했다.
신조어가 세대 간 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묻자, 응답자의 47.1%가 신조어가 세대 간 거리감을 형성하고 의사소통을 단절시키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답했다. 반면 27.7%는 공감대 형성과 재미 요소를 제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했다.
본인의 신조어 이해도를 묻는 질문엔 47.4%가 '자주 듣는 신조어는 이해할 수 있다'고 답했다. 32.1%는 '가끔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했으며 11.4%는 '대부분의 신조어를 이해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9.1%는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에듀플러스]에듀윌, “성인 10명 중 8명, 신조어 때문에 세대 간 대화 어려움 겪어”](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3/18/news-p.v1.20250318.5372028e89844ada91abae30a2e2a430_P1.png)
신조어 사용에 대한 인식 조사는 '너무 빠르게 변해서 따라가기 어렵다'는 응답이 35.6%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세대 차이를 느끼게 한다' 33.6%, '재미있고 유용하다' 22.1%, '언어 파괴로 부정적이다' 8.7%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자주 사용하는 신조어 유형은 ▲갑분싸 ▲혼코노 ▲별다줄 등 줄임말이 36.2%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서 ▲플렉스 ▲레트로 등 외래어 및 외국어 변형 21.2%, ▲스불재 ▲오운완 ▲삼귀다 등 신조어 조합 20.8%, ▲킹받네 ▲ㄱㄱ 등 인터넷·SNS 용어 20.3%로 비슷한 비율을 보였다.
에듀윌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 신조어는 세대 간 소통의 새로운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특히 빠르게 변화하는 언어 환경에서 상호 이해를 돕기 위해 신조어에 대한 관심과 적절한 활용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승은 기자 evel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