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 그룹이 카카오톡 출시 15주년을 맞아 모바일을 잇는 인공지능(AI) 시대 성장 전략 방향을 제시했다. 정신아 카카오 CA협의체 의장은 현 경영 환경을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일시적으로 열리는 혁신의 기회인 '이노베이션 윈도우(Innovation Window)'로 정의하며 임원들의 책임감 있는 리더십을 당부했다.
카카오 그룹은 지난 18일 경기 용인시 '카카오 AI캠퍼스'에서 주요 그룹사 임원들이 모인 가운데 경영 워크숍 '원 카카오 서밋(One Kakao Summit)'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원 카카오 서밋'은 주요 경영 현안을 점검하고 핵심 아젠다를 논의하기 위해 올해 처음 마련한 자리다. 정신아 CA협의체 의장을 비롯해 카카오,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페이, 카카오픽코마 등 16개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CEO)와 CA협의체 위원장 등 약 160명의 임원이 참석했다.
이 날 행사는 '엔드 투 앤드(End to And)-새로운 15년, 다시 시작점에 서다'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됐다. 모바일 시대가 마무리되고 새 AI 시대가 열렸음을 의미한다.
정 의장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15년 전 카카오는 모바일 혁명기 초입에 뛰어들어 사람들의 일상에 큰 변화를 만들었다”면서 “앞으로 15년 동안에도 AI로 다시 한번 삶의 풍경을 바꾸고 새 미래 문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장은 AI로 인해 급변하는 현재의 경영 환경을 '이노베이션 윈도우'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이는 산업 패러다임 전환기에 일시적으로 열리는 혁신의 기회를 뜻한다. 세계의 기술 기업이 연일 새 AI 기술과 서비스를 쏟아내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상황을 고려했다.
정 의장은 AI 대중화를 위한 그룹의 3가지 전략 방향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자체 개발한 '카나나'부터 오픈AI의 GPT까지 다양한 언어모델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정책 △메시징·금융·모빌리티 등 그룹 내 주요 서비스를 하나로 엮는 에이전트 플랫폼 간의 생태계 비전 △사용자의 일상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심층 데이터 구축을 전략으로 제시했다.
정 의장은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임원들에게 AI 시대에 걸맞는 신중하되 대담한 리더십을 거듭 강조했다. 정 의장은 “한정된 자원으로 글로벌 빅테크와 국경 없는 경쟁을 벌여야 하는 만큼 '일단 해 보자'는 접근은 위험하다”면서 “높은 시장 이해에 기반한 명확한 방향 설정, 효율적이고 속도감 있는 투자가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변상근 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