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공식화했다. 발효 시점은 4월 2일(현지시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그치지 않고 '상호관세'를 포함해 의약품과 목재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워싱턴DC 백악관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며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특히 “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로 연간 1000억달러(약 147조원)의 세수 증가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자동차 관세 부과 시기에 대해선 “4월 2일부터 발효된다. 4월 3일부터 관세를 걷기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대상은 모든 외국산 자동차와 핵심 부품이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과 유럽, 멕시코, 캐나다에서 생산된 자동차와 핵심 부품이 주요 타깃이 될 전망이다.
특히 대미 수출 1위 품목이 자동차인 우리나라는 더 큰 충격이 예상된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4400만달러(약 51조원)다. 현대차그룹(현대차·기아) 수출량은 97만대, 한국GM 수출량은 41만대가량으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미국 내 생산을 늘려 관세 폭탄 충격을 완화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여전히 국내를 비롯해 미국 외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물량이 많아 피해가 불가피하다.
우리 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를 중심으로 긴급 민관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미국에 대한 관세율과 비관세장벽 등을 두루 고려해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겠다는 계획도 재확인했다. 의약품과 목재에 대한 관세 부과도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