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가 31일부터 소상공인의 준비된 창업과 안정적 경영을 지원하기 위한 '소상공인 상권분석 서비스'를 운영한다.
이 사업은 데이터 기반 상권분석을 통해 자영업자 과당경쟁을 예방하고, 경쟁력 있는 소상공인 육성을 목표로 추진했다.
지난해 5월 시스템 구축을 완료한 이후 시범운영과 기능 고도화를 거쳐 올해 정식 운영을 통해 본격 서비스 제공에 돌입한다.
예비 창업자에게 업종·입지 선정 등 창업 초기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회원가입 후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또 기존 소상공인은 매출 증대, 업종전환, 점포 개선 등 경영 전략 수립을 지원한다.
소상공인 분석 서비스, 소상공인 지원 전문가, 소상공인 지원사업, 소상공인 데이터 셋 등 4대 핵심 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행정동이나 상권별 업종 분석(분포 현황, 폐업률 등), 매출 분석(월별 추이, 요일별 현황 등), 인구 분석(일평균 유동 인구 현황, 성별·연령대 비율, 요일별·시간대별 현황, 주거 인구 현황 등) 자료가 담긴 분석보고서를 시각화해 제공하고, 2개 이상 관심 지역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다.
분석 활용 데이터는 공공·민간기관으로부터 수집한 총 29종의 최신 정보로 구성되며, 월·분기·연 단위로 주기적 업데이트가 이뤄진다.
소상공인 지원 전문가는 경영, 마케팅, 기술, 디지털전환, 법률 등 5개 분야 전문가 71명이 참여해 소상공인 업종과 상황에 맞는 실질적 지원을 제공한다.
올해부터는 디지털 분야에 특화된 맞춤형 컨설팅을 확대하고, 기존 2회이던 컨설팅 횟수도 3회 이상으로 늘려 후속 점검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지난해 시범운영 기간 중 82명에게 140건의 컨설팅을 제공했고, 만족도 조사 결과 84% 이상이 '실질적 도움이 됐다'라고 응답했다.
현재 공모 중인 지원사업 신청을 원스톱으로 연결하고, '소상공인 데이터 셋'을 통해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 기능도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는 단순 창업 지원을 넘어, 대전시 및 유관기관 정책 수립에도 활용한다.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상공인 정책 방향 설정과 지원사업 기획에 필요한 분석자료를 제공하고, 시민 체감형 데이터 행정 기반을 마련한다.
또 G-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인프라를 구축해 보안성과 운영 안정성을 확보했고, 전담 인력을 배치해 상권 데이터 최신성, 품질 관리, 시스템 유지보수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민선 8기 핵심 공약사업인 상권분석 서비스는 데이터 기반 창업 전략 수립과 경영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앞으로 소상공인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지원책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전=양승민 기자 sm104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