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가 미래 먹거리 바이오 의료 분야 산업 육성을 위해 중앙 정부를 대상으로 정지 작업에 나선다.
충남도는 31일 순천향대 대회의실에서 바이오 특화단지 추가 지정을 위한 산·관·학 포럼을 개최했다.
정부 바이오 특화단지 지정을 얻어내면 신속 인허가 처리, 인프라 구축 시 국비 지원, 공유재산 사용료 감면, 입주기업 부담금 감면 등 다양한 혜택으로 충남의 K-바이오·의료 산업벨트 조성에 탄력이 붙기 때문이다. 도는 지난해 10월 바이오산업과를 신설하는 등 바이오 의료 산업 육성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번 포럼은 바이오산업의 핵심 거점 조성을 위한 전략을 논의하고 도의 강점과 가능성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했다.
도·시군 관계 공무원과 바이오산업 관련 기업 관계자, 학계 전문가 등 50여 명이 포럼에 참석했다.
포럼에선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충남 바이오산업 기반·핵심 선도기업 현황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육성 전략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다양한 의견을 공유했다.
특히 프로바이오틱스·마이크로바이옴 융합연구센터(PMC), 휴먼·마이크로바이옴 분자제어 선도연구센터(HM MRC),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상용화센터(GMP) 등 도내 기존 기반을 활용한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산업 육성 방안과 특화단지 지정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아울러 이날 산·관·학 전문가들은 도가 국가 바이오의약품 산업의 중추적 역할을 할 최적의 입지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도는 앞으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추가 지정 추진을 위한 산·관·학 협의체를 구성하고 필요성, 시급성 등을 산업통상자원부에 설명하는 등 특화단지 추가 지정을 위해 지속해 협의할 방침이다.
김성호 도 바이오산업과장은 “이번 포럼을 국가 바이오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로 삼아 우리 도가 보유한 기반과 역량을 바탕으로 특화단지 추가 지정을 위해 지속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6월 말 바이오 특화단지 지정 신청 11개 지역을 대상으로 선도기업, 투자 규모, 산업생태계 발전 가능성, 지역 균형발전 등을 고려해 인천·경기(시흥), 대전(유성), 강원(춘천·홍천), 전남(화순), 경북(안동·포항) 등 5곳을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했다.
안수민 기자 smah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