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가 오는 2·3일 연이어 본회의를 열기로 하면서 팽팽하게 대립하던 3월 임시국회 일정은 일단락됐다. 하지만 4월 4일부터 시작되는 4월 임시국회 일정은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과와 맞물려 여야 간 줄다리기가 계속될 전망이다.
국회의장실은 1일 언론 공지를 통해 “3월 임시국회가 마무리되는 4월 2일과 3일에 본회의를 열기로 했다”며 “4월 4일부터 시작되는 4월 임시국회 일정은 여야가 추가 협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원식 국회의장(가운데)과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왼쪽),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지난달 31일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의장 주재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3/31/rcv.YNA.20250331.PYH2025033106070001300_P1.jpg)
이번 본회의 일정은 단순한 회의 일정 조율을 넘어, 탄핵소추안을 둘러싼 여야간 정치적 계산이 얽힌 결과다. 국민의힘은 3일 하루만 본회의를 열자는 입장이었지만, 민주당 등 야당은 탄핵소추안 처리를 위해 1~4일 연속 본회의를 열자고 맞섰다.
야당이 주장한 '연속 본회의'는 표면적으로는 국정감시 기능을 내세웠지만, 실질적으로는 헌법재판관 임명을 둘러싼 정국 주도권 싸움의 일환이었다. 민주당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까지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으면 한 총리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대해 모두 탄핵소추하겠다는 강수를 뒀다.
하지만 이날 헌법재판소가 오는 4일 오전 11시에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선고하겠다고 밝히면서 야당이 추진하던 '쌍탄핵' 카드는 힘이 빠지는 분위기다.
이미 발의한 최 부총리 탄핵소추안은 2일 본회의에서 보고되고 3일 표결이 가능하지만, 실제 성정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여기에 한 총리에 대한 재탄핵도 유동적인 상황이 됐다. 헌재의 선고 일정과 맞물려 야당 내부에서도 신중론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본회의가 열리면 최 부총리 탄핵안은 당연히 보고될 것”이라면서도 “4일로 선고 날짜가 잡힌 만큼 한 총리 탄핵안 발의, 최 부총리 탄핵안 의결 등은 지도부 의견을 듣고 전략적으로 판단·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여야는 4월 임시국회 일정과 함께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등을 놓고 재협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윤 대통령 탄핵심판 결과에 따라 정국이 급격하게 경색될 수 있어 추가 합의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