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농수산물 유통 구조 손질… 온라인도매·물류 거점화로 비용 줄인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농수산물 유통 비용을 줄이기 위해 유통 구조를 손본다. 산지부터 소비지까지 이어지는 복잡한 유통 단계를 디지털화하고, 물류 거점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효율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농수산물 유통구조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지난 2022년과 2024년에 수립한 관련 대책의 후속 조치로, 유통 전반을 국민 눈높이에 맞게 합리화하고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의 후생을 높이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핵심 과제는 온라인도매시장 확대와 물류 체계 고도화다. 정부는 지난해 처음 문을 연 온라인도매시장의 올해 거래액 목표를 1조원으로 설정했다. 당근, 양파, 사과, 계란 등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거래 규모를 늘리고 예약거래나 역경매 방식 같은 새로운 거래 유형도 실험할 방침이다. 산지 조직과 외식업체를 연결해주는 맞춤형 거래 지원도 병행된다.

기존 도매시장도 물류 거점으로 바뀐다. 정부는 구색 맞춤, 통합배송, 재포장 기능을 갖춘 권역별 물류센터를 전국 주요 도매시장에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P박스 등 물류 기기의 표준화, 산지 물류기기 통합관리 시스템 도입도 상반기 중 추진한다.

산지유통센터(APC)도 확대된다. 현재까지 전국에 30개소가 설치됐고, 정부는 2026년까지 100개소 구축을 목표로 잡았다. 취급 물량을 키우고 선별·포장에 필요한 인력은 줄여 물류 비용을 낮춘다는 계산이다.

법적 기반 정비도 속도를 낸다. 온라인도매시장 운영에 필요한 법률은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다. 도매법인 재지정 기준과 신규 공모 절차를 포함한 농안법 개정안 후속 조치도 함께 추진된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유통 구조를 구조적으로 개편해 거래 경쟁을 촉진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유통 혁신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