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창경센터, 지역 창업허브로 거듭나야

전국 19곳에 운영중인 창조경제혁신센터(창경센터)가 출범 11년만에 지역 창업 생태계를 품고 아우르는 법정기관으로서 지위를 갖게될 전망이다. 어찌보면 첫발은 옥동자처럼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뗐지만, 나중에 주무 부처가 바뀌고 센터 명칭 변경과 존폐 논란까지 겪은 비운의 센터에서 진정한 법정기관으로 다시 태어나게 된다.

지난 2014년 박근혜 정부 당시, 창경센터는 국정 슬로건이기도한 '창조경제'의 핵심 거점으로 주목 받았다. 광역자치단체 17곳과 각 1대1 매칭된 대기업들이 힘을 모아 만들어진 상징성도 컸다. 포스코와 한국전력이 위치한 포항과 나주에 2개 센터가 더 들어선 것도 이 같은 출범 취지 때문이다. 당시 주무부처이던 미래창조과학부는 창경센터를 대기업 기술·자본과 지역 거점대학·인재들을 연결하는 창업벨트로 키우겠다는 의욕에 불탔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들어선 문재인 정부에서 창경센터 관할권은 아예 부로 승격되며 신설된 중소벤처기업부로 넘겨졌다. 명칭 변경을 비롯한 체질 개선, 역할 조정 등의 논의가 있었지만 사실 가장 중요한 법적 지위 확보는 현 윤석열 정부까지 지지부진한 상태로 미뤄졌다. 지난해 출범 10주년을 맞았지만, 변변한 법령 적용도 없이 주무부처 고시와 지방자치단체 조례에 의존해 운영되는 처지가 지속됐다.

이번 중기부가 '지역창업 전담기관 법적 근거 확립을 위한 연구 용역'을 내고 관련 법령 개정 작업에 나선 것은 많이 늦었지만 꼭 필요한 조치로 받아들여진다. 중기부 관계자가 “이제는 창경센터를 단순한 창업지원 기관이 아니라, 지역 주도 창업 인프라로 격상시켜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한 점이 사실상 모든 행정적 목적을 압축적으로 말해준다.

전국 19개 창경센터가 그간 우여곡절 속에도 지원한 1인창업, 스타트업, 벤처기업수를 지속적으로 늘려왔고, 지역 우수 일자리 창출은 물론 투자유치 효과에 있어 발군의 기능을 발휘해 왔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세계 혁신기술계의 새로운 기준으로 꼽히는 CES 혁신상 수상 국내기업의 70%가 여기서 나왔다는 점은 창경센터의 존재가치를 명확히 보여준다.

창경센터 법정 지위 확보가 조직의 변화에 더해 지역의 창업·인재풀·네트워킹 시너지·행정 효율 등 기능까지 확대, 강화하는 계기가 되도록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지역에 기술창업 활성화란 새로운 바람을 불러 일으키는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

editorial@etnews.com 기자 editoria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