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집무실에서 상호관세 대응 긴급 경제안보전략TF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4/03/rcv.YNA.20250403.PYH2025040301150001300_P1.jpg)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가 현실화하면서 정부도 즉각 대응에 나섰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중심으로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산업별 지원방안도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
정부는 3일 미국이 한국산 수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후 한 권한대행 주재로 두 차례 경제안보전략TF를 개최했다.
관세율 발표 직후 열린 회의에서 한 권한대행은 “통상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가 가진 모든 역량을 쏟아부어야 할 것”이라며 “상호관세의 상세 내용과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본격적인 협상의 장이 열리는 만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미협상에 적극 나서달라”고 지시했다.
오후 회의에는 민간기업도 참여했다. 한 권한대행은 “즉시 통상교섭본부장의 방미를 추진하는 등 각급에서 긴밀한 대미 협의를 추진하겠다”며 “오늘부터 관세가 적용되는 자동차 산업은 다음주까지 긴급 지원대책을 발표하고 중소·중견기업 취약 부문과 업종에 대한 지원대책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에서 외환·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했다. 최 부총리를 비롯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감원장 등 참석자들은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하고 급격한 시장 변동성에는 즉각 대응하기로 했다. 24시간 모니터링체제도 지속 가동한다.
최 부총리는 “높은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로 다가온 이상, 본격적인 대응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F4 회의도 여기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최 부총리는 통상위기 대응을 위해 정부가 제안한 10조원 규모의 필수추경 논의도 신속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재차 요청했다. 정부는 추경안에 수출금융과 수출기업 지원을 위한 바우처 재원 등을 담을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장관 주재 '민관 합동 미 관세 조치 대책 회의'를 주재하고 한 권한대행이 지시한 통상교섭본부장 방미를 포함해 대미 협의를 지속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안 장관은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미국의 관세 조치가 우리 경제 및 산업,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업종별 지원대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기업들이 입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장관과 통상본부장 등 고위급과 실무급 대미 협의를 추진한다.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로 영향을 받을 업종에 대한 구체적인 영향 분석과 함께 긴급 지원 대책도 조속히 마련하기로 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