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 2050년 전력자립률 100% 달성 추진…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구축

충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모델안. (충북도 제공)
충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모델안. (충북도 제공)

전력자립률 하위권의 충북도가 분산에너지원 기반 미래 전력공급 체계 전환에 본격 나선다.

도는 7일 충북연구원에서 충북 분산에너지 육성 중장기전략 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는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대응을 위해 산·학·연 및 시·군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충북지역 분산에너지 현황 및 여건 분석과 함께 충북 분산에너지 육성 중장기 비전 및 전략, 5대 중점전략 및 15개 핵심사업 추진계획,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계획수립 및 확대, 분산에너지 산업육성을 위한 제도개선 등을 논의했다.

도에 따르면 충북지역 전락자립률은 2023년 기준 10.8%로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14위에 불과하다.

반면 전력소비량은 국가핵심산업인 이차전지, 바이오, 반도체, 방사광가속기649 등 에너지 수요가 높은 첨단산업 집적으로 인해 높고, 정부정책과 내륙이라는 지리적 여건상 대규모 발전소 건립이 어려워 전력자립률이 낮을 수 밖에 없는 여건이다.

이에 따라 도는 전력자립률을 내년 40%, 2050년까지 100% 달성을 목표로 충북 분산에너지 육성 중장기전략을 수립하고, 충북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특화지역 지정에 따른 전력 직접 거래에 주목하고 있다. 이를 위해 특화지역 사업 유형은 공급자원 유치형으로 도전한다.

지난해 특화지역 공동 대응을 위해 한국동서발전, SK에코엔지니어링, 바이오프랜즈, 충북테크노파크, 충북에너지산학융합원 등과 지난해 협약을 체결한 상태다.

청주, 충주, 음성 일원에 총사업비 3000억원을 투입해 소형LNG 발전설비 구축(28.2㎿ 이하), 지붕형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 수소생산시설구축(1.8톤/일), 분산에너지 통합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하는 모델로 구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력자립도를 확보함으로써 전력 사용량이 많은 첨단산업 유치에 유리한 조건을 선점할 계획이다.

도는 15일 특화지역 지정 신청을 완료하고 최종 선정될 수 있도록 관련 기관과 총력 대응을 이어갈 방침이다.

김영환 충북도지사는 “충북 분산에너지 육성 중장기전략을 마련해 다양한 발전원 유치와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 등으로 2050년까지 충북 전력자립률 100% 달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충북=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