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U 지원 사업, 무상 제공에도 미달…부실 수요 파악 도마 위로

오픈AI 챗GPT 생성 이미지.
오픈AI 챗GPT 생성 이미지.

인공지능(AI) 반도체인 신경망처리장치(NPU)를 무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정부 사업에서 신청자 모집이 미달된 것으로 확인됐다. 부실 수요 파악이 도마 위로 올랐다.

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올해 '고성능 컴퓨팅 지원 사업'에 참가할 참가사 모집 결과 NPU 지원 대상인 기업·기관 200개 중 40개만이 신청했다.

과기정통부는 2023년부터 100여개로 유지해 오던 사업 지원 대상을 올해 두 배로 확대했지만, 정작 올해 신청 기업·기관은 이전 지원 대상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사업 예산을 지난해 22억원에서 올해 41억원으로 2배 가까이 늘린 것이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 사업은 AI를 연구·개발(R&D)하려는 중소·벤처 기업, 대학교(원) 등에 고성능 컴퓨팅 자원을 제공, AI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게 목적이다. 이를 위해 A100, H100 등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와 리벨리온, 퓨리오사에이아이 등 국내 기업의 NPU 자원을 제공한다.

정부는 AI 서비스 개발에 대한 업계 수요를 반영해 NPU 지원 대상을 확대했다는 설명이다.

사업 전담기관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관계자는 “지난해 기업 관계자들과 진행한 간담회, 현장 조사 등을 진행한 결과 NPU 서버에 대한 수요가 있어 이를 반영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올해 NPU 사용자 모집이 미달되면서, 과기정통부는 최근 NPU 사용자 추가 모집 공고를 냈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국내 NPU 기업을 지원하는 데 집중해 실제 NPU 사용자 수요와 상황 파악이 부실했던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 사업에 지원했던 소프트웨어 기업 대표는 “이 정부 사업을 통해 지원받는 NPU는 이르면 올 4월부터 12월까지 1년도 채 사용하지 못한다”면서 “NPU 칩 위에 AI 모델을 올려 운용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는 수개월이 걸리고, 이 과정을 거치더라도 성능을 보장하기 어려워 당장 NPU를 사용하는 곳은 비교적 적은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스타트업 대표는 “이 사업에서 NPU 지원에 집중하기보단 수요가 높은 그래픽처리장치(GPU) 지원 혜택을 늘려줬으면 한다”며 “올해 사업에서 GPU 자원 이용 부담금을 지난해보다 줄인 것에 더해 GPU 서버 스펙을 업그레이드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