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中에 50% 추가 관세 경고…“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

보복관세 철회 안 하면 104%
中 “끝까지 맞설것” 분쟁 격화
日 총리·대만 부총리급 대응
우리나라도 美 방문 협상 속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에서 상호관세에 대해 연설하고 있다. AFP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에서 상호관세에 대해 연설하고 있다. AFP

미국의 상호관세 발효가 임박하면서 미국의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보복관세 조치를 철회하지 않으면 50%의 관세를 추가하겠다고 경고했다. 또 다른 나라에는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밝히면서도 관세 외 비관세 등 무역장벽 해소를 위한 협상안을 가져오라고 압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중국을 향해 “8일까지 34%의 보복관세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50%의 추가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은 미국이 34%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같은 날 34%의 보복 관세를 미국에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은 9일부터 발효될 것”이라며 중국이 수용하지 않을 경우, 대화는 취소될 것이라고 압박했다. 중국은 대미무역 흑자 1위 국가로, 이미 미국으로부터 보편관세 20%를 부과받은 데다 오는 9일 상호관세 34%까지 발효되면 미국에 수출할 때 총 54% 관세 부담해야 한다. 여기에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경고한 50% 관세까지 추가될 경우, 104% 관세를 맞을 위기에 처했다.

중국은 “만약 미국이 격상한 관세 조치를 이행하면 단호히 반격 조처를 해 권익을 수호하겠다.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맞설 것”이라고 대응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경고한 미국과 달리 시진핑 국가주석은 침묵했다. 상무부가 홈페이지에 게재한 담화문을 통해서만 이러한 입장을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에 대화를 촉구했다.

중국의 이러한 입장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와 협상을 시작하겠다고 밝힌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에 고립되지 않기 위해서로 분석된다. 무역적자 폭이 가장 큰 중국과 그 외 다른 나라를 '분리 대응'키로 한 미국이 중국처럼 보복관세를 검토하는 다른 나라에도 경고장을 보낸 셈이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7일 국내 증시가 5% 넘게 폭락했다. 코스피는 8개월 만에 오전 한때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7.22포인트(5.57%) 내린 2328.20 으로 마감했다. 이날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7일 국내 증시가 5% 넘게 폭락했다. 코스피는 8개월 만에 오전 한때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37.22포인트(5.57%) 내린 2328.20 으로 마감했다. 이날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박지호기자 jihopress@etnews.com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외 다른 나라와는 협상을 즉각 시작하기로 함에 따라, 8∼9일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을 방문하는 우리나라 역시 협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 더 빠르게 움직였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한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본부장으로 모든 내각 구성원이 참여하는 종합대책본부를 설치했다. 미국은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이 일본과의 협상을 담당키로 했다.

32%의 상호관세 부과가 예고된 대만도 부총리 격인 부행정원장을 미국으로 파견해 협상에 나선다고 대만 자유시보 등이 보도했다. 베트남은 대미 관세를 0%로 낮추겠다며 유화적인 제스처를 보냈다.

유럽연합(EU)은 미국에 협상을 제안하면서도 미국이 응하지 않으면 대응 조치에 들어갈 수 있다고 압박했다.

다만 미국이 원하는게 무역적자 해소만이 아니라는게 문제다.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를 인하하는 조치만으로는 협상이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이다. 미국은 부가가치세나 정부 보조금과 같은 비관세 장벽에 대한 조치 또한 요구하고 있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중요한 것은 비관세 사기(cheating)다. 제로 관세라는 것에 오도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