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국무회의에서 오는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치르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대선을 준비하는 각 당의 시계도 점점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관련법상 입후보 제한을 받는 자의 최종 사퇴 기한인 오는 5월 4일까지 경선을 모두 마무리할 예정이다.
민주당은 이번 대선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2·3 비상계엄 당시 발 빠른 대응으로 해제결의안 가결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낸 데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도 완성한 탓에 광장의 민심을 그대로 대선까지 이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유력 대선 후보인 이재명 대표의 행보가 가장 큰 관심이다. 지난달 26일 공직선거법 항소심에서 무죄를 받으면서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사법리스크도 사실상 털어낸 이 대표는 이르면 9일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한 뒤 당대표직에서 물러나 본격적으로 대선 행보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선수가 심판을 본다'는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다. 최근 정당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상승한 것도 고무적이다.

다만 여전히 숙제도 있다. 비호감도다. JTBC 의뢰로 메타보이스가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1명에게 정치인 비호감도를 물은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 응답률 16.5%, 무선 100% 전화 면접) 이 대표는 36%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중도·진보 계열 내 다른 주자들이 이재명 대세론을 흔들 수 있는 지지율이 나오지 않은 상황인 탓에 민주당 인사의 실언이 곧바로 이 대표의 지지율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가능성도 있다.
결국 이 대표는 강점인 유능함을 앞세워 안정감과 포용력 등을 따질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선거 전략 역시 이 대표가 그동안 강조했던 성장·중도·실용 등을 이어가는 방식으로 안정감을 강조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에 국민의힘은 상황이 정반대다. 유력주자 부재로 인해 당 차원의 전략 마련이 쉽지 않다. 같은 보수 성향 후보임에도 색깔이 저마다 크게 다른 탓이다.
뇌관은 윤 전 대통령 탄핵을 바라보는 시각이다. 최대한 지지세를 모아 이를 바탕으로 중도 공략에 나서야 하는 상황에서 탄핵 수용 여부가 핵심으로 떠오르는 모양새다. 탄핵에 불복하면 중도 공략이 어렵고 반대로 이를 수용하면 이른바 '아스팔트 보수'가 투표장에 나오지 않는 방식으로 이탈할 수 있다는 우려다. 게다가 국민의힘과 경선 승자가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기간도 약 30일밖에 되지 않는 등 물리적인 시간 자체도 부족하다.
아울러 국민의힘 지도부가 여전히 친윤(친 윤석열)계인 점도 변수다. 사실상 윤 전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비윤(비 윤석열)계가 최종 후보로 낙점될 경우 친윤계가 적극적으로 도와주지 않을 수도 있다.
장성철 공감과논쟁정책센터 소장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서 “전당대회·지방선거 등에서 존재감을 확보하기 위해 (대선 경선에) 나가는 것 아니냐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김준일 시사평론가도 “(국민의힘은) 다음에 또 공천받거나 당내 지분을 확보하기 위해 지금은 강하게 지지층한테 어필할 필요가 있다는 사정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사에 인용한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