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는 8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K-Food+ 수출기업을 초청해 간담회를 열고 미국 상호관세 부과 조치에 따른 기업별 영향과 정부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소비자가격 상승에 따른 수요 위축 우려가 있다”며 “수출단가 인하를 위해 무역금융과 수출바우처 확대를 요청하는 목소리가 컸다”고 밝혔다.
미국 외 시장 다변화를 위한 통합마케팅, 검역협상 정보 제공도 업계가 건의한 주요 과제로 꼽혔다. 송 장관은 “기업별 상황이 달라 피해 양상이 다양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는 해소 가능한 애로는 즉시 대응하고, 관계부처 협의가 필요한 사항은 후속 조치로 연결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월 환보험, 무역금융, 신선농산물 수출조직 육성 등을 포함한 수출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환보험은 현재 6개월 한시 적용 중이며, 필요시 연장도 검토할 방침이다. 송 장관은 “상호관세 대응 외에도 다른 국가들의 조치 사례를 수집해 참고할 것”이라며 “비관세장벽 관련 구체적 대응은 아직 공식적으로 제기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한국산 쌀 관세 언급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조치가 아니며, 예시 수준으로 판단된다”며 “우리 쌀은 TRQ(저율관세할당) 물량이 있어 미국 측에 해당 제도를 중심으로 설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K-Food+ 수출 목표를 140억 달러로 설정했으며, 1분기 실적은 32억 달러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미국 시장은 전체 수출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다. 송 장관은 “시장 다변화와 민관 공동 대응을 통해 목표 달성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4월 3일 미국 신행정부가 한국산 일부 품목에 대해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데 따른 대응 논의의 일환으로 열렸다. 정부는 바우처, 물류비, 수출금융 등 기존 대책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추가 지원 수단을 모색할 계획이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