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칼럼

  • 기사 썸네일
    제로 트러스트, 선진적인 신원인증 선행돼야

    디지털 전환은 기업에 효율을 가져온 동시에 보안 위험을 가속화 시켰다. 클라우드, 스마트워크, 사물 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신기술이 등장하면서 기업 데이터는 이전보다 더 분산되고 접근성이 높아졌다. 이같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는 망 내부 접근은

    2024-05-28 16:00
  • 기사 썸네일
    차세대보안 신흥기술, 국제표준화 추진 강화해야

    사이버 보안은 전자정부, 디지털 금융, 전자의료, 지능형 자동차, 스마트 공장 등 모든 융·복합 서비스의 신뢰성을 보장해주는 핵심 기반 기술이다. 사이버 보안은 인공지능(AI), 메타버스, 디지털 트윈 등 신흥 기술에 바탕을 둔 모든 서비스에 대한 보안 위협을 식별하고

    2024-05-07 16:00
  • 기사 썸네일
    패스워드부터 없애야 당신이 안전해 진다

    인공지능(AI) 발달 속도가 실로 눈부시다. 사람 대신 거의 모든 분야에서 활약 중인 AI가 인간의 영역을 대체하는 가운데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국제기구인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회의에서도 최근 AI는 ‘핫’한 주제다. 특히 통신분야

    2024-04-23 16:00
  • 기사 썸네일
    사이버 민생약탈 연간 5000억원…강력한 리더십만이 답

    북한이 개입한 정황이 확인됐다. 정부 당국도 대한민국 국민을 노리는 악성 애플리케이션 판매자가 북한 정보기술(IT) 조직원인 것으로 파악했다.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ATF)도 최근 증가한 사이버 사건이 북한의 불법적 사이버 활동과 연결됐다고 평하고, 확산금융과 연관성에

    2024-04-09 16:00
  • 기사 썸네일
    개인정보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필자는 데이터보호 전문업체를 28년째 이끌고 있다. 30년간의 데이터 보호 트렌드를 간략하게 요약하면 초기 10년은 산업기밀 유출방지에 초점이 있었다. 모 전자 반도체 핵심기밀 유출사건 등이 배경이 됐다. 웹메일이나 USB 파일복사 등을 통한 기밀정보 유출을 차단하는

    2024-03-26 16:00
  • 기사 썸네일
    사이버 공격의 공세적 대응을 위한 침해평가 활용 전략

    최근 현 정부에서 공세적 사이버 대응과 복원력 강화를 골자로 한 국가사이버안보전략을 발표했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에서도 사이버 공격을 억지하는 관점으로 공세적 역량을 확보하는 연구 과제가 기획·논의되고 있다. 이런 변화는 수세적으로 사이버 공격을 대응 해오던

    2024-03-12 16:00
  • 기사 썸네일
    사이버 위협의 변화와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사이버보안 전문 조사 기관 ‘사이버시큐리티 벤쳐스’는 소프트웨어(SW) 공급망 공격으로 2025년까지 세계 기업이 감당해야 할 손실 비용이 약 8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SW 공급망 공격은 기존의 사이버 위협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클라

    2024-02-27 16:00
  • 기사 썸네일
    생성형 AI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

    2022년 11월 챗GPT가 등장하고 난 후 세상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챗GPT 이전엔 인공지능(AI) 모델을 사용하려면 너무 높은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했다. AI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은 복잡하고 어려웠다. 그러나, 챗GPT가 등장하고 나선 일반인도 자신이 원하는

    2024-02-13 16:59
  • 기사 썸네일
    리스크 기반의 써드파티 사이버 리스크 관리 전략

    최근의 지역 전쟁과 함께 미국의 디리스킹(de-risking) 정책과 중국의 대응 상황은 써드파티(3rd Party) 공급사를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과 이로 인한 주요 비즈니스 차질을 촉발하고 있다. 기업은 더 많은 부분에서 써드파티에 의존하고, 클라우드 솔루션에 대

    2024-01-30 16:00
  • 기사 썸네일
    제로 트러스트의 이해와 발전방향

    최근 국내외 정보기술(IT) 보안 환경에서 새로운 보안 개념으로 ‘제로 트러스트’라는 용어가 심심찮게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선 최근 몇 년 사이 제로 트러스트가 핫이슈가 되다 보니 정부 관계 부처를 통해 이슈화 및 정책 현안으로 제기하는 상황이다. 이에 지난해 7월 과

    2024-01-16 16:00
  • 기사 썸네일
    정보보안 사각지대 해소 위한 숙제들

    거스를 수 없는 디지털전환(DX)의 시대다. DX는 전통적 영역의 애로사항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혁신적인 해결책을 도출하는 것이다. 앤데믹 이후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주요 국가가 핵심 기술을 기조로 DX와 관련된 성장 전략을 발표하는 등 큰 성장을 예상하는 중요한 요

    2024-01-02 16:00
  • 기사 썸네일
    디지털 혁신 뒤에 따르는 '클라우드 해킹 위협', 기술적 대응 방안은?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IT 기업에게 기술적 혁신을 가져다 준 최고의 선물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클라우드 환경에선 누구나 컴퓨팅 자원을 원하는만큼 빌려쓰고 신속하게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여 고객에게 향상된 서비스를 빠르게 제공한다. 그야말로 디지털 혁신의

    2023-12-22 10:00
  • 기사 썸네일
    연말연시 쇼핑 시즌, 사이버 공격의 덫에 걸리지 않으려면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로 이어지는 쇼핑시즌이 다가오면서 유통·이커머스 업계는 각종 할인 행사와 이벤트를 예고하고 있다. 온·오프라인 영역에서 연중 가장 많은 거래가 발생하고 높은 금액이 오가는 시기인 만큼, 사이버 보안 위협 또한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

    2023-12-19 16:00
  • 기사 썸네일
    본격적인 클라우드 활용 시대, 보안과 나아가야 할 방향은?

    현재, 국내에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가 진행 중이다. AI, 클라우드, SaaS 기반 서비스 등 신기술이 다양한 업무에 활용되며 여러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과 민간 부문에서도 클라우드 전환을 통해 서비스 효율성을 높이려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2023-12-15 10:00
  • 기사 썸네일
    생성형 AI 시대, 새로운 차원의 위험에 대비하라

    생성형 인공지능(AI)은 세계 다른 곳에서와 마찬가지로 한국 기업과 정부가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관심사 중 하나다. AI 혁신 개발이 빠른 속도로 진행됨에도 불구하고 기업, 정부 및 세계 경제가 받는 영향은 우리가 이해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한국은 AI 혁신을 대규모로

    2023-12-05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