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보다 빨리 국내 과학기술 성과를 전합니다.
기자에게 메일 보내기
-
IBS 주도 'NEON' 실험, 세계 최고 수준 초경량 암흑물질 탐색 민감도 달성
암흑물질 탐색을 위한 새로운 시도가 성공적인 첫걸음을 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노도영)은 지하실험 연구단(단장 김영덕)이 이끄는 국내 공동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상용 원자로를 활용해 가벼운 암흑물질을 직접 탐색하는 네온(NEON) 실험을 구현했다고 6일 밝혔다.
2025-02-06 18:59 -
지질연, 7만 년 전 '대규모 단층' 따른 지형 변화 발견
한반도 남동부를 관통하는 약 200㎞ 길이 양산단층에 위치한 인보구간을 연구한 결과, 지진 활동과 기후 변화가 결합해 해당 지역 대규모 지형 변화를 초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평구)은 이태호 지질재해연구본부 박사팀이 양산단층 인보구간에서 채취한
2025-02-06 18:52 -
UST 운영위, 강대임 전 표준연 원장을 차기 총장 최종 후보로 추천
강대임 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이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차기 총장 최종 후보로 꼽혔다. 6일 UST 운영위원회에서 이뤄진 결과다. 경쟁 후보는 이병권 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이찬구 충남대 교수였다. 다음 절차는 오는 11일 UST 설립기관장
2025-02-06 18:09 -
에너지연 지원 부서, IT 기업에 기술이전…'출연연 최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아이티메이트와 지난해 12월 30일 에너지연 본원에서 'AI 활용 규정 챗봇 시스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연구지원 부서에서 개발한 기술이 기업에 이전된 첫 번째 사례다. 지원 부서의 한계를 극복한
2025-02-06 10:12 -
생기원, 탄소 배출량 35% 줄인 바이오 윤활기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상목)이 포스텍과 함께 친환경 윤활기유를 제조하는 차세대 생산기술을 확보했다고 6일 밝혔다. 기계 부품 표면 사이에 얇은 막을 형성해 마찰·마모를 줄이고 열을 분산시키는 윤활유는 '기유(Base oil)'를 기본 원료로 첨가제를 혼합해 만든다.
2025-02-06 10:02 -
'그래비티 샴푸' 개발 KAIST 연구진, 샴푸 탈모 예방 효과 입증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교원창업으로 폴리페놀팩토리를 세워 '그래비티' 샴푸를 창출한 학내 연구진이, 관련 핵심기술의 탈모 예방 효과를 입증했다. 그래비티 샴푸에 적용된 천연 폴리페놀 일종 '탄닌산'이 탈모를 완화시키는 '접착 중재자' 역할을 한다는 점을
2025-02-06 09:45 -
ETRI, 드론 활용해 대용량·장거리 이동통신 인프라 구현…4K 영상 전송 가능
드론과 같은 공중이동체를 활용해 공중에서 임시로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동통신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화재 및 재난으로 이동통신 네트워크가 붕괴된 지역에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해 말 충남 태안군 일원
2025-02-06 09:31 -
KIT, 올해의 우수연구자로 '심장 오가노이드 활용 심장독성 영향평가 기술' 개발 이향애 박사 선정
안전성평가연구소(KIT)는 2024년도 우수연구성과를 선정하고, 올해의 우수연구자로 첨단예측연구본부의 이향애 박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KIT는 연구자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우수한 성과를 홍보함으로써 과학 기술 확산에 기여하고자 매년 과학적, 기술적 및 사회적 가치 등을
2025-02-05 17:44 -
김영식 NST 이사장, 한의학연 방문해 현장 소통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은 5일 한국한의학연구원(원장 이진용) 대전 본원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와 한의학연의 협력을 강화하고 한의학연의 우수 성과를 알리며, 미래융합의학을 주도하겠다는 한의학연의 미래 비전을 공유하기 위한 자
2025-02-05 17:41 -
화학연 총괄 '차세대 이차전지 글로벌 톱 연구단' 연구 성과 점검
이차전지 기술이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핵심으로 떠오른 가운데,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영국)이 총괄하는 '차세대 이차전지 분야 글로벌 TOP 전략연구단'이 출범 첫해 연구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한국화학연구원(원장 이영국)은 4~5일
2025-02-05 17:36 -
KAIST, '네이처'와 컨퍼런스…우리 과기정책, AI·신소재 주제로 다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5~7일 일정으로 국제학술지 네이처와 함께 '2025 네이처 컨퍼런스'를 대전 본원 학술문화관에서 개최한다. 5일 정책포럼을 시작으로, '인공지능을 위한 신소재, 신소재를 위한 인공지능'을 주제로 최신 연구동향도 공유한다. 5일 인덱스 라이
2025-02-05 17:29 -
암세포 발생시 정상세포로…KAIST, '암 가역화 분자스위치' 발굴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연구진이 암세포를 정상화하기 위한 또 다른 진전을 이뤘다. KAIST는 조광현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팀이 정상세포의 암세포 변화 순간 '임계 전이 현상'을 포착하고 이를 분석해 다시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임의의 유전자, 즉
2025-02-05 10:18 -
IBS, '머리카락 굵기 10만분의 1' 1차원 양자 금속 세계 최초 구현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노도영)은 반데르발스 양자 물질 연구단 조문호 단장(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과 박홍근 하버드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60년 전 제시된 '루팅거 액체 이론'을 최초로 실험 증명해냈다고 밝혔다. 머리카락 굵기의 10만분의 1 정도의 폭을 가진 1
2025-02-04 19:50 -
KAIST, '찰나'의 순간 전이상태 분자구조 밝혀
펨토화학으로 화학반응 중 일어나는 분자구조 변화를 실시간에서 관측할 수 있는 길이 열렸지만, 에너지에 따른 '전이상태' 구조 변화 직접 관측 예는 매우 드물다. 이런 가운데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 연구진이 광분해 화학반응 전이상태 분자구조 변화를 분광학
2025-02-04 19:46 -
설립 40주년 생명연, 바이오 기술로 나라의 '희망' 지향한다
우리나라 국내 유일 바이오 전문 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이 설립 40주년을 맞았다. 생명연은 4일 대전 본원 강당에서 기념식을 열고, 기관의 마흔 번째 생일을 자축했다. 그러면서 기관이 새로운 희망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2025-02-04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