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보다 빨리 국내 과학기술 성과를 전합니다.
기자에게 메일 보내기
-
[인사]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본부장 △회원서비스본부 김정환 △연구소성장지원본부 김상길 △시상인증본부 고재걸 △미래성장전략본부 이창주 ◇센터장 △기업공감원스톱지원센터 고재걸(겸직) ◇팀장 △회원지원팀 김영창 △연구소인정팀 이정직 △연구소운영지원팀 김영석 △기술혁신지원팀 유지영
2024-12-31 10:17 -
버넥트, 스탠다드에너지 등 KAIST 창업기업 다수 'CES 2025 혁신상' 수상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세계 최대 규모 기술 박람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에 혁신 기술을 선보이는 가운데, KAIST 창업기업 다수가 이노베이션 어워드(혁신상)를 수상했다. KAIST는 창업기업인 버넥트, 스탠다드에너지, 에이투어스,
2024-12-31 10:12 -
원자력연 정병엽 박사, 한국방사선산업학회장 선출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정병엽 박사가 제10대 한국방사선산업학회장으로 선출돼 오는 1월부터 2년간 학회를 대표한다고 밝혔다. 한국방사선산업학회는 우리나라 유일의 방사선 산업 진흥을 위한 연구개발 및 실용화 관련 전문 학술 단체로 2006년 설립된 이후 국내 방사선 산업 및
2024-12-30 19:04 -
UST 성과 7건,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주관하는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교원 연구성과가 7건 선정됐다.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은 과학기술이 국가 발전에 기여한 역할에 대해 국민들의 관심을 높이고 범부처 차원에서
2024-12-30 19:02 -
초보자도 손쉽게 활용…생기원, AI 기반 '금속 3D 프린팅 장비 제어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상목)은 장비 스스로 결함을 인식·제어·개선하는 인공지능(AI) 기반 '금속 3D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유세훈 지역산업혁신부문 수석연구원, 이호진 모빌리티부품그룹 수석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적층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2024-12-30 10:12 -
단일 소자로 다양한 소자 기능해…KAIST, 실리콘 한계 넘는 양극성 반도체 소자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단일 소자로 다양한 전자 소자 기능을 통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N형 및 P형, 양극에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는 인듐 셀레나이드(InSe: 인듐과 셀레늄으로 이뤄진 무기 화합물 반도체) 기반 기술이다. 차세대 전자 소
2024-12-30 09:46 -
과기정통부·IITP, 'AX 주도 디지털 혁신 기술' 발표…AI·양자·보안 등 성과 쏟아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원장 홍진배)이 인공지능 전환(AX) 시대 디지털 대변혁을 이끌 기술 혁신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연구자들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올해의 ICT R&D 우수 성과'
2024-12-29 12:00 -
KAIST, '호버 바이크' 핵심 기술 개발…접근 어려운 지역 구조 등 활용 기대
호버바이크는 기존 교통 체계를 보완할 수 있는 차세대 모빌리티로, 고중량 탑재 및 장거리 비행을 통해 교통 혼잡이 없는 공중 교통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국내 연구진이 고성능 호버바이크의 개발을 통해 해외 기술 의존을 탈피한 국내 자체 개발의 유/무인 복합 하이브리
2024-12-27 18:09 -
김태수 KAIST 석사과정, IEEE EDAPS 2024 국제학회에서 '최우수 논문상' 수상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석사과정 학생이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가장 권위 있는 반도체 패키징 기술 관련 국제학회 '이뎁스(EDAPS) 2024'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김정호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연구실(KAIST 테라랩)의 김태수 석사과정 학생이 주인공이
2024-12-27 08:44 -
철도연 친환경 액화수소 하이브리드 추진 기술 '2024 명품 K-철도기술' 선정
한국철도기술연구원(원장 한석윤)은 K-철도기술을 세계적 명품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철도연의 유망 기술 중 4개 기술을 2024년 대표 '명품 K-철도기술'로 선정했다. 명품 K-철도기술은 전통적인 철도산업에 4차산업 기술과 한국문화 등 대한민국의 강점을 융합한 우수 기술
2024-12-27 08:32 -
KAIST, 뉴욕대와 협력해 웨어러블 기기 최적화 고해상도 생체 임피던스 측정 기술 개발
몸에 교류 전류를 흘릴 때 전류 흐름을 방해하는 인체 저항 특성인 '생체 임피던스' 측정 기술은 웨어러블 기기에 매우 중요하다. 국제 공동 연구진이 단 두 개의 전극만을 사용하면서도 기존보다 5배 정밀하게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화제다. 한국과학
2024-12-27 08:26 -
폐플라스틱 처리 新기술 나오나…생명연, '꿀벌부채명나방'에서 플라스틱 산화효소 발굴
국내 연구진이 곤충 유래 효소를 활용한 플라스틱 생분해 기술을 개발, 플라스틱 폐기물 친환경 처리방안을 새롭게 제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은 감염병연구센터의 류충민 박사팀이 꿀벌부채명나방 장에서 플라스틱을 산화하는 효소를 발굴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시
2024-12-26 11:51 -
ETRI '다중 엑스선' 지면 투시 기술 개발…軍 분야 활용에 산업 적용도
국내 연구진이 디지털 엑스선원(X-ray Source)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땅속 물체 형상 및 물질 종류를 구분해 영상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지뢰나 폭발물 탐지, 국군 전사자 유해 발굴 등에 활용될 가능성을 높였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다중 디지
2024-12-26 11:41 -
전국 나노인프라 공정서비스 역량고도화 역점…기업 '기술경쟁력' 확보 돕기 위해 달린다
전국의 나노인프라 기관들이 자체 역량 고도화에 나섰다. 이는 곧 기업들의 기술개발 역량 확보, 비용절감, 개발기간 단축 등 '기술경쟁력' 확보로 이어질 전망이다. 나노인프라 기관들이 모인 국가나노인프라협의체는 25일 '나노인프라 공정서비스 역량고도화'를 통해 힘을 키워
2024-12-25 1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