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보다 빨리 국내 과학기술 성과를 전합니다.
기자에게 메일 보내기
-
나노기술로 '축산분뇨 악취' 해결…건설연, 나노세정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원장 박선규)은 축산분뇨 유기질비료 제조시설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와 암모니아 등 악취 민원을 해결할 수 있는 나노기술 기반 세정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현재 대부분 퇴비화 시설 및 제조공장 등 배출시설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액세정시스템'
2024-12-17 10:43 -
IBS·RIKEN, 극한 희귀동위원소 협력 플랫폼 구축 컨소시엄…한일 '원팀' 연구 본격 추진
한국과 일본 양국을 대표하는 연구기관이 10년 '원팀' 장기 협력 연구 신호탄을 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노도영)과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이사장 고노카미 마코토)는 '탑티어 연구기관 간 협력플랫폼 구축 및 공동연구지원사업(이하 톱티어 사업)'의 본격 시
2024-12-16 18:09 -
산·학·연 협의체 '핵융합 혁신연합' 출범…핵융합에너지 조기 실현 추진체계 구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16일 오후 2시 대전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컨퍼런스룸에서 '핵융합 혁신연합(Fusion Innovation Alliance)' 출범식을 개최했다. 출범식에는 과기정통부 장관, 출연연 원장, 대기업·중소기업·스타트업 관계자, 대학 연구
2024-12-16 17:23 -
KAIST, 신약 개발 기업 HLB 그룹과 협력…암·파킨슨병 신약 발굴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미래 첨단 바이오 의료시대를 대비해 연구 투자 및 산학협력 확대를 위해 16일 대전 KAIST 본원에서 HLB 그룹(회장 진양곤)과 포괄적인 상호협력 협약을 맺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암, 파킨슨병 등 난치성 질환 신
2024-12-16 17:12 -
ETRI, '밥상 위기' 해결 첫 걸음…식물-전자공학 융합 심포지엄 개최
국내 연구진이 식물, 농업, 전자공학, 바이오공학을 융합해 인류 미래 먹거리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개발에 나섰다. 개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기술 가능성을 점검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7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미래 먹거리 문제 해결
2024-12-16 11:32 -
高기술력 양자기업 5곳,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로 날개단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는 양자 분야 혁신 스타트업의 성장에 초점을 두고 있다. 각 기업은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공적인 양자 응용 기술 상용화를 위한 여정에 나서고 있다. 이 가운데 SDT(대표 윤지원)는 양자 기술을 활용
2024-12-16 11:00 -
오상록 원장 “양자 기술은 초격차 열쇠…대한민국 글로벌 퀀텀 점프 준비할 것”
“양자 기술은 글로벌 산업, 안보 지형을 바꿀 '게임 체인저' 분야로, 실험실에만 존재하는 과학자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온 국민이 발전시켜야 할 우리 미래입니다. 국내 연구를 선도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로 '대한민국 글로
2024-12-16 11:00 -
[양자 초격차 스타트업 선도기관 KIST] 유망 기업 R&BD 지원, 글로벌 이름 알리기도…혁신 창업 생태계 구축 도모
앞으로 우리 일상에 큰 변혁을 불러일으킬 기술을 꼽는다면, 양자 분야를 빼놓을 수 없다. 혁신적인 연산 속도, 완벽한 보안, 극한 정밀도의 센싱을 토대로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초격차'를 이룬다. 이에 정부도 양자 기술을 '3대 게임 체인저' 기술 중 하나로 꼽기도
2024-12-16 11:00 -
관심 있는 주제 콘텐츠 내가 직접 만든다…KISTI, '사이언스 트렌드' 서비스 개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원장 이식)은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사이언스온(ScienceON) 플랫폼 내 '사이언스온 트렌드(TREND)'에 이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을 추가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이언스온은 국내외 논문, 특허, 국가 연구개발(R&D) 보
2024-12-16 10:25 -
생기원, CO₂ 고품질 나노탄소 전환 공정기술 '세계 최초'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상목)은 이산화탄소(CO₂)를 고품질 나노탄소로 전환하는 공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활용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생기원 탄소경량소재그룹의 김정필 수석연구원, 양정훈 선임연구원팀이 이룬 성과다. C
2024-12-16 10:14 -
STEPI, 호주 싱크탱크 전략정책연구소와 인텔리전스 네트워크 구축협력에 '맞손'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원장 윤지웅)은 호주 전략정책연구소(ASPI·소장 저스틴 바시)와 지난 12일싱크탱크 간 정책연구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STEPI에서 제안한 세계적 싱크탱크 네트워크 구축 목적의 '글로벌 인텔리
2024-12-15 17:06 -
원자력연, '2024년 대한민국 교육기부' 대상 수상
한국원자력연구원은 교육부가 주최하고·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는 '2024년 제13회 대한민국 교육기부 대상'에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2013년, 2015년, 2016년, 2020년에 이어 올해 다섯 번째 대상을 수상했다. 이는
2024-12-15 17:02 -
친환경 합성화학 새로운 장 열다…KIST, 전이금속 없이 유기실란 합성 성공
유기실란은 규소·탄소가 결합돼 이뤄진 실리콘 화합물로 의약품 개발, 신소재 제조, 반도체 재료 등에 핵심 원료로 폭넓게 활용된다. 그러나 유기실란 합성 시 실란 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전이금속을 사용하거나 공기와 수분에서 불안정한 중간체 합성이 필수적이었다. 합성 후 금
2024-12-15 16:58 -
IBS, GIST 캠퍼스에 물리 분야 신규 연구단장 선임
기초과학연구원(IBS·원장 노도영)은 광주과학기술원(GIST) 물리·광과학과의 김경택 교수를 IBS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의 신규 연구단장으로 선임했다. IBS의 GIST 캠퍼스에 위치한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은 12월 16일부터 연구에 착수한다. 김경택 신임
2024-12-15 16:51 -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고성능 폴리이미드, 독성 없이 물로 만들어…화학연 기술 개발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친환경 소재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독성 유기용매 대신 물을 활용한 폴리이미드 제조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원종찬·김윤호·박종민 박사 연구팀이 물을 용매로 사용해 고온 내구성과 높은 강도를 갖춘 폴리이미드를
2024-12-15 1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