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기고] 1등 AI 보유국가는 어려울 수 있지만, 1등 AI 활용국가는 늦지 않았다

    최근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등장은 전 세계적인 AI 혁신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도 초거대언어모델(LLM)을 개발하며 이 흐름에 동참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미국과 중국 등 선도국과의 기술력 격차를 좁히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2025-03-20 16:00
  • 기사 썸네일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71〉더 이상 나에게 묻지마

    동의 피로(consent fatigue) 라는 말이 요즘 자주 쓰인다. 사용자가 온라인 환경에서 개인정보 제공 및 개인 데이터 처리에 대한 동의를 반복적으로 요구받으면서 피로감을 느끼고, 점점 더 기계적인 답변을 하게되거나 무관심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유럽연합(EU)에

    2025-03-20 16:00
  • 기사 썸네일
    [정구민의 테크읽기]성장하는 모빌리티 서비스와 우리나라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코로나19 이후 어려움을 겪었던 승차 공유 시장이 2023년과 2024년을 지나면서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우버·리프트 등 주요 관련 기업은 2023년을 전환점으로 크게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 승차 공유 업체는 코로나 시기에 이용자 수 급감, 차량 공급 부족으

    2025-03-20 16:00
  • 기사 썸네일
    [ET단상]한국 AI 컴퓨팅 인프라, 점(點)에서 망(網)으로

    전 세계에서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컴퓨팅 인프라 확보 전략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고 있다. 최근 중국이 개별 데이터센터 중심의 '점(點)' 전략에서 전국적 규모 '네트워크(網)'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개별 데이터센터 확충에 머물

    2025-03-20 16:00
  • 기사 썸네일
    [ET시론] 과학을 위해 일어서자(Stand Up for Science)

    최근 미국과 프랑스에서 '과학을 위해 일어서자(Stand Up for Science)' 시위가 벌어졌다. 이 시위는 과학적 자유와 과학적 증거에 기반한 정책 수립을 요구하며, 정치적 이해관계로 인해 과학이 억압되거나 무시되는 현실에 대한 반발에서 시작됐다. 최근 프랑스

    2025-03-20 16:00
  • 기사 썸네일
    [ET단상]AI 에이전트가 여는 전자거래 혁신, 선제적으로 대응하자

    CES 2025에서 가장 주목받은 기술은 단연 '인공지능(AI) 에이전트'다. 이는 정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복수의 AI가 유기적으로 연동하며,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지능형 시스템이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는 AI 에이전트 시장이 지난해 51억달러에서 2030년

    2025-03-19 16:00
  • 기사 썸네일
    [ET시론]신학기 캠퍼스의 불편한 진실

    누구나 버릴 수 없는 전공 서적이 한 권쯤 있을 것이다. 빛바랜 종이를 넘기다 보면 풋풋한 봄날의 캠퍼스와 지성의 세계가 주는 자극이 생생하다. 요즘 대학생들은 종이책보다 전자책 형태의 교재가 더 익숙한 듯하다. 두꺼운 전공책을 강의계획안에 맞춰 셀프 분권하던 것도 옛

    2025-03-19 16:00
  • 기사 썸네일
    [ET대학포럼] 〈213〉과학기술 인공평가지능

    “박사님, 지난번 과제 평가 발표 때 언급하셨던 실패한 실험 있잖아요. 혹시 그 실험의 조건과 방법을 알려주실 수 있으신지요?” 만약 과학기술 연구자에게 이런 연락이 왔다고 가정해 보자. 연구프로젝트의 최종 평가에서 꽤 좋은 결과를 받았는데 생뚱맞게 논문으로 출간된 결

    2025-03-19 16:00
  • 기사 썸네일
    [기고] AI로 도약하는 공직사회

    2016년 3월 당대 최고 바둑기사 이세돌과 영국 딥마인드가 개발한 인공지능(AI) 알파고 간 바둑 대결이 알파고의 일방적 승리로 막을 내리자 인류는 충격과 두려움에 휩싸였다. 그 충격이 잊힐 즈음인 2022년 11월 인간의 말을 이해하고 인간처럼 대화하며 글을 쓰는

    2025-03-19 16:00
  • 기사 썸네일
    [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12〉의사 쌤들의 침소봉대(針小棒大)

    '침소봉대(針小棒大)'라는 말이 있다. 바늘처럼 작은 것을 몽둥이처럼 과장하는 것을 뜻한다. 사실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진실이 왜곡되는 측면이 있다. 업무상 파트너나 소통하는 상대의 신뢰도가 낮을 때, 침소봉대는 강력한 효과를 발휘한다. 침소봉대를 하다 보면 사

    2025-03-19 16:00
  • 기사 썸네일
    [김경환 변호사의 디지털법] 〈48〉CBDC 도입과 개인정보 보호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중앙은행들이 연구하고 있는 중요한 금융 혁신이다. 중국은 2020년부터 디지털 위안화(e-CNY)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유럽중앙은행(ECB)은 디지털 유로 도입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바하마와 나이지리

    2025-03-18 16:00
  • 기사 썸네일
    [기고] AI시대 한국핀테크산업 발전을 위한 제언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으로 탄생한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술 발전은 금융의 혁신을 가속화한다. 디지털환경을 구축해 산업생태계를 변화시키고, 전 세계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는 디지털 금융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디지털 기반 산업은 최종적으로 금융의 역할을

    2025-03-18 16:00
  • 기사 썸네일
    [미래포럼] RISE사업의 성공을 위한 IT환경에 대한 고찰

    최근 대학 발전 전략에는 '향후 몇 년 내 글로벌 톱(Top)100 대학에 진입하겠다'는 포부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해 행정과 학생(People), 예산(Finance), 구현 기술(Technology) 등이 필수 요소로 꼽힌다. 특히, 해외 유학생이 온라인

    2025-03-18 16:00
  • 기사 썸네일
    [ET단상] 현대 데이터센터 구축의 3가지 핵심 요소

    데이터센터는 짧은 기간 동안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불과 20년 전만 해도 원시적이고 투박하며 거대한 기계였으나, 정보기술(IT) 인프라가 데스크톱에 통합되며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인터넷의 등장과 고성능컴퓨팅(HPC), 엔터프라이즈 기술, 클라우드 서비스 등 혁신

    2025-03-17 16:00
  • 기사 썸네일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23〉디지털 고객매거진, 새로운 플랫폼에는 새로운 방식으로

    기업이나 기관의 '고객매거진'은 브랜드 미디어(Brand Media)의 일환으로 기업(관)이 목표 고객과 소통하고 브랜드 인지도, 신뢰도, 충성도를 강화하기 위해 활용하는 전통적이고도 강력한 매체다. 일반적으로 '사외보'라고 불리던 고객매거진은 디지털 시대를 맞아 웹진

    2025-03-17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