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국내 출시 예정이던 구글 안드로이드페이가 여러 난관에 봉착하며 '딜레마'에 빠졌다. 협력카드사 전산 연동을 추진 중이지만, 해외카드사의 보안토큰 차용 문제와 국내 전용카드 사용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출시 일정도 몇 번이나 연기됐다. 한국에 출시되더라도 파급력은 미미할 것이란 예측까지 나온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카드, 롯데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신한카드 등이 안드로이드페이 전산 연동 작업을 추진 중이다. 이 과정에서 보안 강화를 위한 토큰 적용을 놓고 국내 카드사와 해외카드사 간 갈등이 불거졌다.
토큰화(Tokenization)는 신용카드 정보를 난수로 이뤄진 암호로 변환, 저장함으로써 해당 카드 정보가 유출돼도 부정사용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이다.
삼성페이 등이 자체 보안토큰 기술을 적용한 것과 달리 구글 안드로이드페이는 비자, 마스터카드 등이 보유한 EMV기반 토큰을 적용한다. 즉, 국내용이 아닌 해외 카드사가 만든 보안토큰을 적용하고, 결제도 이들 글로벌 카드사 망을 통해 되도록 했다.
구글 안드로이드페이가 한국에 진출해도 국내 전용 카드는 이용을 할 수 없고, 비자, 마스터 등 해외겸용카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결제 수수료 문제 등으로 국내 카드사는 해외 겸용카드 대신 로컬 전용 카드 발급을 늘리는 추세다. 구글 안드로이드페이 활용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이유다.
한 협력 카드사 관계자는 “구글 안드로이드페이가 한국 서비스를 시작해도, 로컬 카드 사용이 안되기 때문에 기존 삼성페이나 LG페이의 범용성에는 한참 못미칠 것”이라며 “협력 카드사들도 여러 페이 중 하나 정도로 생각할 뿐, 구글 안드로이드페이의 향후 영향력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라고 설명했다.
보안토큰 사용료를 둘러싼 국내와 해외카드사 간 갈등도 풀리지 않고 있다.
국내 카드사는 비자, 마스터카드의 보안토큰 영구 무료화를 주장한다. 이에 대해 해외 카드사는 일단 초기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이후 유료화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 카드사는 자신들의 보안토큰이 적용되면 한국에서 토큰 라이선스를 받을 수 있고, 자사망을 통한 겸용카드만 사용할 수 있다. 또 겸용카드 발급 수수료 증가와 보안토큰을 통한 장악력 확대도 꾀할 수 있다.
반면 국내 카드사는 해외 카드사에 비해 얻는 혜택이 거의 없다. 이미 제휴카드에 대한 고액의 수수료를 받아가는데다가 보안 토큰 사용료까지 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 우리나라 소비자가 국내서만 카드를 사용하고 빠져나가는 해외 브랜드카드 제휴 로열티만 1년에 1000억원이 넘는다.
길재식 금융산업 전문기자 osolgi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