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달아오르고 있는 경쟁력강화의 가속화는 이제 더욱 많은 기업 들이 지속적인 경영혁신을 당위성으로 받아들이게 하고 있다.
성공적인경영혁신은 기술, 금융, 경영 및 마키팅기술과 재원의 적절한 혼합 물이라 할 수 있다. 경영혁신 방안을 자체적으로 개발, 추진코자하는 신생 중소기업의 욕구증대로 인해 EU(유럽연합)차원의 경영혁신지원서비스가 상당 한 진척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국제 추세속에서 유럽은 89년 4월의 유럽각료위원회 결정에 따라 스프린트 SPRINT 기술혁신 및 기술이전을 위한 전략프로그램)"계획에 착수했다 . 스프린트 계획의 목적은 회원국가 및 유럽연합차원의 경영혁신기반 넷워크를 통해 신기술과 경영혁신을 전유럽으로 확산시키는 것이다. 스프린트는 지난 84년부터 유럽집행 위원회가 적극적으로 검토해 89년부터 93년까지 5년간 총예산 9천만ECU를 지원받아 시행됐다.
또한스프린트의 검토 단계부터 이 계획의 실질적인 집행기구인 TII(유럽 기술 이노베이션, 산업정보 이전협회)도 함께 구성되어 활동에 들어갔다. 당시 유럽공동체의 회원국 정부 관련부처를 비롯, 연구단체, 기업 등 4백70여 회원단체로 구성된 TII는 각 산업분야에서 이노베이션을 촉진시키기 위한 지원작업을 진행해 이제 본궤도에 올랐다.
유럽집행위원회의지침에 따라 설립된 TII는 비영리법인 단체의 성격을 띠고있다. TII는 또 구성원들이 투표권을 행사해 이사회를 구성함으로써 자율적 으로 운영됨은 물론이다. 스프린트계획의 재정지원을 받아 설립된 TII는 회원가입비 계약수수료, 서비스제공으로부터 오는 수입 등으로 운영비를 조달 하고 있다. 물론 설립목적이 이윤을 남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공리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가입비 및 서비스요금이 그리 과중하지는 않다.
TII는유럽의 기업경영혁신 지원서비스의 발전을 지원하고 격려 한다는 당초 설립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일에 관련을 맺고 있다. EU내의 어떤 기업이 어느 분야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 것인가를 알려 시장의 투명성을 제고 하는것은 물론 연합 차원의 신정책결정에 자문기구로 기여한다. 또 유럽은 물론 역외단체 및 기업 까지 포괄하는 대규모 회원정보망을 구성해 성원들간에 활발한 기술정보교류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TII는 이를 위해 유럽기업 및 연구 기관의 DB를 연결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구성원들의 마키팅 활동을 지원 하고 있다.
TII의지원활동은 유럽의 85개 연구기관 및 연구단지, 대학 등과 다수의 기업들이 참여해 구성한 TRN(기술 응답 넷워크)을 통해 이루어진다. 30개국 2백여회원으로 구성된 TRN은 EU뿐만 아니라 전세계에 걸쳐 넷워크를 구성하고 있다. 이는 당초 서비스의 범위인 EU역내를 역외로 확대해 더욱 활발한 기술 교류를 실현코자 하는 것이다.
TRN은TII의 지점망역할을 맡고 있는 "직접사용자" 들로 구성돼 있고 최근에는 일본, 한국, 남미 등지에서도 직접사용자가 신규가입했다. 한국의 경우는KSD사가 이 서비스의 직접사용자로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직접사용자들은 TRN을 통해 기술을 공급하거나 제공받기를 원하는 기업 들을 연결해 주는 중개기능을 한다. 또한 "최종사용자"인 일반기업들도 TII 의 심의를 거쳐 실제사용자가 될수 있는 기회가 열려있다. TII회원들 역시 해마다 실시되는 자체심의과정을 거친후 자격을 다시 부여받고 있다.
최근기술 이전의 수요 및 공급을 담당하는 직접사용자들의 확산은 TRN을 통한 기술교류건수도 몇배로 확대시켰다. 물론 직접사용자에 연결된 최종 사용자의 수는 실제로 집계가 불가능할 정도로 많다.
TRN이제공하는 기술분야는 크게 바이오테크놀로지, 에너지, 환경정화, IT( 정보기술) 및 통신, 반도체 등의 기초산업, 각산업부문관련기술, 신소재 등7개분야로 나눠 진다. TRN을 통한 업체들의 기술공급 및 요청건수의 비율이 약 4대1로 나타났다. 이는 TRN을 통해 원하는 기술을 공급받음으로써 성과를거둔 기업의 수가 더욱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기업들도앞으로 TRN을 통해 미국, 일본보다는 생소한 유럽산업계에 접근할 수 있는 폭넓은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