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전화 소통율 향상 대책;해설기사(BOX)

이동전화서비스에 비상이 걸렸다. 서울 도심지역에서 이동전화 통화 적체 현상이 심각한 수준에 달했기 때문이다.

한국이동통신이 자체 조사한 이동전화 통화 완료율 수치는 이동전화 통화 적체가 대단히 심각한 상태임을 입증하고 있다. 특히 이동전화 통화 3대 밀집 지역인 서울 영동 영등포 광화문 지역의 통화 완료율은 87%내외인 것으로조사됐다. 이는 올해 2월의 92%에서 5% 포인트나 떨어진 것이다.

통상 전화사용자들이 불편을 느끼지 않는 완료율이 93~94%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현재 이동전화 통화적체는 가입자들이 "참아낼 수 있는 수준"을 이미넘어섰다고 할 수 있다.

6일 조병일 한국이동통신 사장이 직접 "이동전화 통화 적체를 최우선으로 해결토록하겠다 고 밝힌 것은 이같은 압박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이동통신은 지난 9월부터 구성.운영중인 "시설공급및 통화품질 비상대책 위원회"의 분석을 토대로 통화적체 해소에 올해말까지 약 4천억원을 투입하겠다는 복안을 내놓았다. 지난 10년간의 시설 누계의 2배물량을 올해안에 집중 투입, 연말까지 소통율을 92%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극약 처방을 내린 것이다. 특히 문제가 돼왔던 서울 광화문과 영동지역에는 각각 기지국 6개소와 15개소를 추가 증설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도심지역의 이동전화 통화율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사실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 가입자들이 직접 느끼는 "체감 통화율"은 한국이동통신이 밝힌 86~87%의 통화완료율 수치보다 훨씬 높다.

이동전화의 통화 적체가 이처럼 심각한 상황에까지 이른 가장 근본적인 이유 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동전화 가입자는 92년 27만2천명에서 93년 47만2천명으로 74%가 증가했고 올해에는 지난해 누적가입자수보다 1백%이상이 늘어난 95만5천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당초 한국이동통신이 예측한 65만8천명을 훨씬 넘어선 것이다.

여기에 서울지역의 가입자 비중이 전체 가입자 숫자의 절반을 웃도는 56.6% 를 차지하고 있는 데다 서울에서 발생한 총통화량의 37.77%가 광화문 영동 두 지역에 밀집되고 있다. 한국이동통신이 이번 통화품질 개선 대책중 영동 광화문등 통화밀집 지역에 대한 부분에 강조점을 두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그러나 기지국 증설이나 시스템 엔지니어링등의 방법으로 밀집지역의 통화적 체를 해소한다는 이동통신의 계획에 대해 전문가들은 물론, 한국이동통신 실무자들조차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들이 지적하는 첫번째 문제는 그렇지 않아도 기지국 반경이 적어질 대로 적어진 상황에서 또다시 기지국을 증설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무선통신부문의 국제 표준화 기구인 ITU-R(국제전기통신연합 무선전신전화 자문위원회)가 권고하는 이동전화 기지국의 최소반경은 1.6km.

반면현재 광화문.영동등 통화밀집지역의 기지국 반경은 8백m짜리까지 있을만큼 기지국의 소형화가 이루어진 상태다. 미국의 GTE가 운영중인 이동전화 시스템의 기지국 반경이 평균 3~4km, 일본 도코모가 1.5~2km정도임을 감안할때 국내 밀집 지역의 기지국 소형화는 이미 한계에 달했다는 분석이다.

물론 한국이동통신측에서는 이른바 "미니 셀"이라는 새로운 장비를 도입한다 는 대안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 역시 실무자들은 "장비를 직접 개발 한 미국에서조차 현장에서 사용해보지 않은" 미검증 장비라는 점을 들어 탐탁해하지 않는 형편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현재로서는 이론적으로 기지국을 늘리는수밖에 없다"면서도 "하지만 통화중 전화가 끊기는 등의 기지국 반경 축소에 따르는 부작용을 해결할 방법은 거의 없다"고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가입자가 1백50만을 넘어서는 내년 중반기쯤에 가입자 들에게 사용량을 줄여달라고 호소하는 방법외에는 대안이 없다"고 극단적으로 말하기까지 했다.

결국 이번 한국이동통신의 밀집지역 통화적체 해소방안은 근본적인 대책이라 기 보다는 상당한 부작용을 감수한 미봉책으로 끝날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최승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