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파진흥협, "TRS시장 전망" 조사

국내기업들의 TRS(주파수공용통신)에 대한 인지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6일 한국전파진흥협회가 고려대 기업경영연구소에 의뢰해 전국의 물류기업 1천58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국내TRS시장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표본기업체들 중 TRS에 대한 인지도는 34.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TRS의 각 사항에 대한 기업의 인지비율은 *TRS의 통신기능.서비스 내용 46.

5% *TRS망의 구축.이용방법 31.0% *TRS서비스가 이미 항만지역에서 실시되고 있음 48.8% *일부 행정기관에서 이미 TRS를 이용하고 있음 41.1%*자 가TRS망의 허가조건 14.0% *TRS이용과 관련한 장비내역 17.1% *앞으로 추가될 TRS서비스 내용 16.3% 등으로 분석됐다.

이중 전반적인 관련사항을 전부 인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더 낮은 수치를 기록해 10.9%에 불과했고 TRS관련사항에 대해 최소한 3가지 이상의 항목을 인지하고 있는 기업은 37.3%、 모든 사항을 전혀 알지 못하는 경우도 39.5% 나 차지했다.

한편 TRS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의향을 보인 기업은 이같은 인지도의 결과에 관계없이 비교적 높았다.

즉, TRS서비스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 79.5%、 그렇지 않는 경우 70.24%의 기업들이 TRS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응답했다.

TRS공중망에 가입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에 대해 업종별 이용률과 평균수요규모의 추정치를 조사한 결과, 앞으로 99년까지 TRS서비스의 이용이 예상되는 업체수의 비율은 72.8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기업당 평균가입규모는8 8.46대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운수운송업 71.43%(평균수요규모 48.92대) *도소매업 81.82 %(1백59.37대) *금융서비스업 55.56%(92.50대) *물류.수배송업 81.82% (68.73대) *토목건설업 61.90%(90.45대) *정보통신업 80.0%(1백23.21대) *수리서비스업 1백%(45.0대) *일반제조업 80.0%(79.52대) 등이다.

연도별 이용률은 *95년 6.20%(39.52대) *96년 22.48%(69.87대) *97년 20.93% 77.86대 *98년 13.18%(88.18대) *99년 10.8%(88.46대)이다.

이는 상당수의 기업들이 96년 내지 97년께에는 TRS서비스를 이용할 계획인 것으로 풀이되며 98년께는 중소기업이 주로 이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중소기업의 경우 TRS서비스가 어느 정도 안정화되고 단말기 가격의 하락 등 경제적인 요인이 충족될 때 도입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대다수의 기업들이 TRS서비스의 광역화를 요구하고 있는데 이는 조사업체의 55.81%가 영업.물류.애프터서비스의 활동영역이 전국을 대상으로 하고있음을 알 수 있다.

TRS서비스 이용의 지연사유를 중복 질문한 결과、 50.0%가 TRS의 안정화 단계에 가입하기 위함을 대답했고 PSTN(공중통신망)과의 접속 허용과 관련장비 의 구입가 하락이 각각 35.71% 30.95%로 지적돼 TRS산업의 활성화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될 전망이다.

또한 TRS서비스의 이용이 예상되는 기업중에서 60.7%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이동전화.무선호출 서비스를 병행해 이용하려는 경향이 강했으며 16.9%는 기존 이동통신서비스를 TRS서비스로 대체할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TRS서비스의 이용방법은 *자가망 구축 26.5% *제1사업자 이용 11.25% 제2사업자 이용 23.75% *설비임대방식 38.75% 등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대기업은 자가망을 주로 선호하고 있는 반면 중소기업에서는T RS의 관련설비를 무선호출기의 경우처럼 임대하거나 제2전국사업자가 제공하는 디지털 방식의 TRS망에 가입하는 방안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TRS서비스를 이용하려는 동기에 대해서는 주로 업무의 적합성(69%)、 통화 품질.접속률의 우수성(46.6%)、 경제적인 통신비용(44.3%)、 통신보안의 우수성(10.2%)을 각각 꼽았다.

업무와 관련된 TRS서비스 기능의 선호도를 복수로 질문한 결과 *그룹.일제 통화 54.4% *즉시통화 63.2% *데이터통신 26.5% *차량위치추적 38.2% *PSTN접속 27.9% *팩스전송 17.6%였다.

공중망TRS서비스의 연도별 수요예측과 관련해 *95년 1만9백90명 *96년 3만8천5백20명 *97년 8만3천9백50명 *98년 12만7천6백50명 *99년 22만9천2백 80명 *2000년 37만1천1백60명이였다.

2000년 기준으로 TRS서비스의 지역별 수요는 *수도권 21만3천50명 영남권9만7천3백90명 *충청권 2만7천2백80명 *호남권 2만2천3백80명 *강원권 6천5백70명 *제주권 4천4백90명 등이다.

이번 조사대상 기업은 *서울 8백58개사 *인천.경기 83개사 *대전.충남 13 개사 *대구.경북 24개사 *부산.경남 44개사 *전주.전북 8개사 *광주.전 남 16개사 *강원 .제주 6개사 등이다. <김위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