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 정보통신연구소 분석..원격교육 "효과" 기대이상

지난해 초고속 응용서비스로 실시한 쌍방향 화상망 원격교육은 지금까지面對面 교육의 학교교육에 대한 개념 자체의 변화를 요구하는 등 교육효과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원격교육이 面對面 교육이 아닌 간접적인 상호 작용을 하기 때문에인지적인 발달에는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인성 교육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있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오히려 학생과 교사간의 정서적 유대감과 화면으로 접하는 상대방을 더 존중하는 습관이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面對面 중심의 학교 교육개념이 원격교육 중심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같은 지적은 江原大 情報通信硏究所가 지난해 초고속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강원도 내촌초등학교의 「원격초등교육 시범사업의 분석 평가 및발전방안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 보고서는 원격교육은 복식수업을 할 수 밖에 없는 지역 학생들의 상대적인 불이익과 문제를 해소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시범사업으로그칠 것이 아니라 지속사업으로 추진, 여타지역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또 원격교육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와 제도적 정비가 불가피하며, 초등학교뿐만아니라 중·고등학교를 비롯해 대학교, 교육행정 등 모든분야에서 정보화가 병행돼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초고속시범사업으로 실시된 원격초등 교육은 面對面 교육과는 큰 차이를보이고 있어 교사를 비롯해 학생,교육행정가,학부모, 지역 사회 등 모든 분야에서의 변화가 수반돼야 한다고 이 보고서는 밝혔다.

따라서 원격교육을 확대할 경우 재정적, 인적, 교육적인 낭비를 초래할 수있어 좀더 다양한 검토와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발전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원격교육관련 장비면에서는 시범사업 1차연도인 지난해의 경우 시스템 및교육환경 측면에서는 원활한 시행을 위한 기본적인 조건은 마련됐으나 2차연도인 올해부터는 교사들의 교육자료 제작량의 증가로 CD타이틀 제작도구의공급도 시급한 선결과제라는 지적이다. <구근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