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계, 컴퓨터과목 "필수" 전환 시급

범국가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교육정보화 사업을 이른 시일내에 본궤도에진입시키기 위해서는 컴퓨터 교과목을 필수 이수과목으로 전환하고 정부부처·시도교육청·일선학교 등에서 확보하고 있는 컴퓨터 교육 관련 인력을 확충하는게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6일 관련교육계에 따르면 올해부터 오는 2000년까지 교육부 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교육정보화 사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우선 초·중·고교의 컴퓨터관련 교과목을 기존의 선택과목에서 필수과목으로 전환하는 등 교육과정개편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초등학교의 경우 5.6학년 실과 과목에 1개 中단원,중고등학교는기술·상업교과 등에 1개 大단원을 컴퓨터 교과목으로 편성하고 있으나 교육 정보화 사업을 추진하기에는 내용과 시간면에서 크게 부족하기때문에 컴퓨터교과목을 이른 시일내에 독립교과로 전환하고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하도록해야한다는게 교육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한 컴퓨터 교육 관련 전문 행정가와 컴퓨터 교육 담당자등 인련 확충도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주무부서인 교육부의 경우 컴퓨터 교육 담당 전문직(연구사)이 1명이고 시도 교육청·일선학교 등 산하기관도 컴퓨터 교육 담당자들이 기관별로1명씩에 불과, 전문 인력이 태부족인 실정이다.이같은 인력 배치는 지난 94년말 대대적으로 이뤄졌던 정부조직 개편 이후 정착된 것으로 교육정보화의효과적인 추진을 위해선 관련 인력 확충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교육 전문가들은 이밖에도 정부가 교육정보화에 대한 재정 지원을 크게 늘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89년부터 94년까지 진행됐던 교육용컴퓨터의 경우 재원 부족으로 일선학교에 까지 대거 보급되지 못했고 이미 시스템이 노후화되고 성능이 떨어져 교체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교육용 컴퓨터 보급에 더욱 많은 예산을 배분하고 예산집행의 우선 순위를 재조정해서라도 상위기종의 컴퓨터 보급에 주력해야할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일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