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체르노빌 원전사고 10주기를 맞아

세계 최악의 원전사고로 기록된 체르노빌 大慘死가 발생한 지도 벌써 10년이 지났다. 지난 1986년 4월26일 체르노빌의 舊소련제 RBMK형 원자로가 시험가동 과정에서 인간의 실수로 폭발하면서 현장에 있던 원전 근로자 31명이죽고 줄잡아 4백만명의 건강에 유형무형의 피해를 입힌 체르노빌 慘死는 실수에 대한 교훈치고는 너무 큰 대가를 지불한 사고였다.

이 사건은 깨끗한 에너지원이라는 원자력발전소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마찬가지로 위험요인을 안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케 했으며 사고 1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전세계가 심각한 방사능 후유증에 시달리게 만들었다.

이를 반증이라도 하듯 최근 유럽 8개국 과학자 59명이 체르노빌 방사능 오염물질이 식수원인 주변 호수로 확산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지역 3천만명이위험에 처해 있다고 밝혔고, 또 이탈리아 환경보호국 관계자도 체르노빌에서2백50㎞ 떨어진 러시아 코자노프스코에湖의 경우 물고기 체내의 방사능 수치가 EU안전기준의 60배를 초과하므로 당장 어업을 중단해야 한다고 보고서에서 밝혔다. 이처럼 원전사고는 장기간에 걸쳐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하는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현재 전세계에는 4백16기의 원자로가 가동되고 있으며 이중 15개는 사고를낸 체르노빌 원자로와 같은 모델(RBMK)이란 점을 감안하면 폭발 위험은 상존하는 셈이다. 더욱이 이 모델은 5년 주기로 사고를 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올해를 가장 위험한 시기로 보고 안전대책 마련에 노심초사하는 것을 보면원전이 위험하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을 정도다.

세계가 막대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원자력을 위험요인 때문에 포기할 수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최근 중국과 인도가 새로운 원자로 건설에 나선 것을비롯 터키가 70년대 이후 무기한 보류했던 핵프로젝트를 재개했다. 특히 자본은 있으나 에너지가 부족한 아시아 일부 국가에서 핵에너지 개발에 많은돈을 투자함에 따라 「제 2의 원전붐」이 일어날 것이라는 외신보도는 대참사 이후 동결되었던 원전 프로젝트가 다시 활기를 띠고 있음을 보여준다.

체르노빌 사고 10주년을 맞아 한국원자력산업협회와 원자력학회가 11, 12이틀간 제 11차 연차대회를 서울에서 개최했고 19, 20일에는 모스크바에서서방선진국(G7) 정상들과 보리스 옐친 러시아대통령이 참가한 원자력안전 정상회담이 열렸다. 영국에서는 유럽원자력위원회(ENC)가 러시아형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원자력문제에 관한 국제회의가 나라 안팎에서 잇따라 열렸다.

이같은 국내외 원자력회의에서 공통적으로 제기되는 문제가 바로 원자력안정성으로 보다 합리적인 이용방법이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자원이 없는 나라에서 원전의 불가피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원전 건설은 차치하고 원전의 운전과정에서 생기는 폐기물 처리장소마저도 주민들의 결사적인 반대 때문에 지정하지 못하고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사태가 우리 사회에 팽배한 집단 이기주의 영향이라고 매도하기 어렵다. 원전의 안전도에 대한 점검에 문제가 없는지 살펴볼 일이다.

따라서 정부와 관련단체는 차제에 원자력이 수백만명의 인명을 앗아갈 수있는 가공한 물질이긴 하나 우리의 대책은 완벽하다는 인식전환에 노력해야할 것이다. 가장 안전하고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노력하길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