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 인터넷시대, 세계를 향한 경영 (8)

세계시장진출을 정당화하기 위해 기업의 기획담당자들은 시간과 자원의 분배계획이 성과를 거둘 것이라는 확신을 갖고 있어야만 했다.

특히 전통적인 국제적 사업의 여러가지 요인들은 기업이 세계시장으로 뻗어 나가는데 장애요인으로 적용했다. 외국에서의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기위해서는 막대한 자금과 인프라에 투자해야 하는데다 전문적인 지식을 갖춰야 한다는 점이 특히 기업의 해외진출을 가로 막았던 것이다.

비록 이러한 장벽들을 모두 극복한다 하더라도 전세계 수많은 국가에 산재해 있는 고객들로부터 초기 투자로 얻는 매출실적은 별로 많지 않을 것이다.

바로 이러한 장벽 때문에 국제 기업간 경쟁은 거대기업이 주도하는게 당연한 현상이었으며 여타 기업들은 내수시장이나 지역시장을 장악하는 데 집중해 왔던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세계 경제의 상호연관성이 커져감에 따라 모든 규모의 기업들이 경쟁의 영역을 확대하고 제한된 지역경계를 넘어 새로운 기회를 찾으려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모든 기업들이 국제화되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일련의 사회·경제적 그리고 기술적 발전에 힘입어 지역 중심의 자급자족경제가 방대한 지역에 산재하면서 때로는 경쟁하기도 하고 때로는 협력도 할수 있는 상호의존적인 기업으로 바뀌어 왔다.

다음 세기가 다가오면서 기업과 정부 그리고 금융기관은 국가와 기업, 경쟁자와 고객을 단일 글로벌 경제 체제로 연결시켜주는 컴퓨터,넷워크 그리고첨단 통신 인프라에 의존하게 된다.

이같은 글로벌 경제는 모든 산업에 파고 들어 최근에는 주가나 환율, 정치불안정 그리고 무역 정책 현안이 내수 기업의 전략을 수립하는데 까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게 된다.

제품 개발업체와 원자재 공급업체, 제조업체, 유통업체 그리고 지원 서비스업체들간의 관계도 가상기업이 부각되며 변화됐다.

기업들은 더욱 더 전문화해 특정영역에만 초점을 맞추고 심지어 거대 기업들조차도 컴퓨터 통신망에 의존해 규모를 줄이는 한편 가격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다국적 기업들은 대체로 지역적인 제한을 많이 받는 기업들 보다 원자재나인력수급,기술 그리고 시장에 쉽게 접근해왔다. 다국적기업은 최저가 공급업체를 선정하고 국제적인 지원서비스를 얻어내며 서로 다른 시장에서 제품을검사해 국제적인 브랜드 인지도를 향상시키는데 커다란 잇점을 가지고 있으며 전세계 모든 지역에 유통 채널 및 지원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국적 기업이 갖는 규모와 복잡성으로 인해 또 다른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다국적 기업은 지나칠 정도로 세분화돼 있는 데다 비싸고 비효율적인 인프라에 의존하고 있다. 또 전세계에 조직을 설치하고 유지해야하는 부담 때문에 시장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필요한 유연성과 신속성을잃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