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마켓은 MIT 대학의 서버를 이용해 천여개 정도 기업의 홈페이지와 관심을 끌만한 이벤트 행사를 유치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채 몇 달이 지나지 않아 커머셜 사이츠 인덱스에 등록된 수천개 기업들이 서로 자기 홈페이지를 알리기 위해 경쟁하게 되고 인터넷 가상 상점의 숫자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많은 기업들이 오픈 마켓과 함께 비즈니스를 하지 않고도 무료로 커머셜 사이츠 인덱스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서비스로는 직접적인 수입을 기대할 수 없었다.
기업이나 경쟁업체에 관심있는 사용자들이 자사 웹 서버에 꾸준히 접속함에 따라 오픈 마켓은 간접적으로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 오픈 마켓은 또 인터넷 상에서 다른 홈페이지들을 알려주는 주요한 검색사이트로 자리잡게 됐다.
오픈마켓은 이와 함께 다른 기업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직원들이 웹의 상업적 성장을 자세히 살펴보고 다른 기업들이 홈페이지를 상업적 목적에 활용하는 방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웹 사이트를 새롭게 구축하는 대다수 업체들이 주문과 영업보다는 마케팅과 정보교환, 광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사실을 곧 알게 됐다.
거래시 체결되는 액수마다 일정 비율의 요금을 부과해 수입을 올릴 수 있을 정도로 인터넷 상에서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진다는 어떤 증거도 찾을 수 없었다.
오픈 마켓 설립자들은 언젠가 웹 상에서 물건을 사고 파는 행위가 일정 규모에 이를 것이라는 확신에는 변함이 없었지만 거래 체결 건수에 따라 직접적인 수입을 올린다는 계획은 몇 년뒤로 미뤄야만 했다.
오픈 마켓은 세 번째 사업계획으로 온라인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대금을 지불하고서라도 확실한 보안 플랫폼을 사용하고자 하는 대규모 출판 및 정보제공업체들을 대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적은 금액으로 소규모 정보를 판매하는 업체들을 위해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보안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오픈 마켓 사업의 우선순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