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파행적인 시티폰 기지국 網연동

지난 3월20일 상용 서비스를 시작한 발신전용 이동전화인 시티폰이 서비스개시 한달 만에 10만명에 달하는 가입자를 확보하는 등 새로운 이동통신수단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특히 무선호출기와 연계한 부가서비스를 실시하는 등 발신전용이라는 한계 극복에 적극 나서면서 하루평균 1천명 이상의 사용자가 신규 가입하고 있다.

시티폰의 가장 큰 매력이 휴대폰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언제 어디서나 전화를 걸수 있다는 것임에는 이견이 없다. 단말기가격은 물론 가입비와 보증금이 휴대폰의 3분의 1에 불과하며 비록 공중전화박스에 설치된 기지국에 근접해 있어야 하는 제약이 있긴 하지만 통화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는 것이 시티폰의 가입자 확보의 요인인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최근들어 시티폰 서비스지역이 서울 및 수도권 일부지역에서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지역사업자의 전국서비스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돼 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시티폰서비스는 전국 사업자인 한국통신과 10개의 지역사업자가 담당하고 있다. 이들 사업자는 기지국 설치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동일지역내에 일정 비율로 기지국을 분담설치한 후 서로의 망을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전국사업자인 한국통신이 지역사업자와 서비스 상호이용에 대한 계약을 맺을 당시 대상 지역을 지역사업자의 해당지역에 국한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통신과 지역사업자가 망 연동 계약을 맺은 해당지역에서는 서로 다른 사업자의 기지국을 이용,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해당지역을 벗어날 경우 지역사업자의 기지국만을 이용해야 하므로 통화율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이같은 제한적인 망연동에 대해 한국통신과 전국사업자들의 견해가 크게 엇갈리고 있어 가까운 시일에 합의점을 찾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무 부처인 정보통신부도 문제의 심각성을 감안, 전국적인 사업자간 망연동으로 이용자들이 전국 어디서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내용의 권유안을 한국통신측에 전달했다.

이에 대해 한국통신측은 초기 시설투자의 60∼70%를 담당한 전국사업자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기지국을 공동으로 구축하여 상호 망 연동을 통해 서비스를 한다는 취지가 비용절감에 있었음은 물론이다.

우리보다 앞서 시티폰사업에 나선 홍콩의 경우 서비스지역이 우리에 비해 협소한데도 불구하고 사업참여 4개 사업자가 각각의 기지국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비용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결국 서비스를 중단 한 것이 망연동의 중요성을 입증해 주고 있다.

우리나라가 초기 시티폰 서비스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도 홍콩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사업자간 기지국설치를 분담하여 비용을 최소화한 결과로 받아들여진다. 이동통신 사용자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휴대성이며 휴대폰이 시티폰에 비해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경쟁력을 갖춘고 있는 것도 시티폰에 비해 상대적으로 휴대성이 안정된 때문이다.

시티폰은 주변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긴 하지만 기지국 반경 2백m 이내에서만 통화가 가능하며. 이같은 제약으로 인해 망연동의 중요성은 더해질 수 밖에 없다.

이번 전국사업자와 지역사업자간 망 연동 문제는 시내 통화에서는 전혀 이상이 없으며 해당지역에서 시외로 전화를 거는데도 장애가 없다. 해당 지역을 벗어난 경우에 국한된다는 점에서 크게 부각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출장이 잦은 사용자에게는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대중성의 성격이 짙은 서비스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불편을 겪는 일이 있어서는 안되며 더욱이 사업자간의 견해차이가 사용자 불편의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임금협상이 어렵다고 전철 이용자를 담보로 전철운행을 중지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는 것이다.

통신시장 전면개방을 앞둔 상황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이번 망연동 문제는 한걸음씩 양보하여 조속한 시일내에 타협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