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중국 금융정보통신망 현주소

중국은 중앙은행에 위성기술을 이용해 현대화한 전국 지불시스템(CNAPS)을 구축해 전국 각 은행 분야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금융정보통신망의 현대화를 강화하고 있다.

은행들은 중, 대형 컴퓨터를 도입, 전국적인 데이터 처리망을 갖췄으며 고기능 소형 컴퓨터로 창구 등의 업무 처리체계를 구축해 놓고 있다.

중국의 국가금융망(CNFN)은 이를 근간으로 금융관리, 서비스, 정책 기능이 일체화한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망을 지원환경으로 해 인민은행과 각 상업은행, 금융기구 등을 결합시킨 종합적인 통합시스템이다.

CNFN은 X.25와 FR규정을 이용해 전국적인 금융,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망은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파일과 서류전송서비스를 통해 인민은행과 각 상업은행, 금융기구 내부의 전자서류 교환도 진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CNFN은 중국 각종 금융정보 전송의 인프라 역할을 해 공동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계된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다. 독립적인 망관리시스템이 가능해 일반 공용망의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은 물론 전문망의 특징과 효율성도 함께 갖추고 있다.

오픈시스템 구조를 채택해 이용자가 각자의 여러가지 시스템을 연결해 활용할 수 있게 했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서비스는 물론 금융분야 전용 전자우편 및 팩스서비스 등 전자서류 교환도 가능하다.

CNFN은 3개 등급의 업무처리 망으로 구분될 수 있다.

1급은 국가총은행과 각 성의 은행을 연결하는 망으로 중, 대형 컴퓨터를 베이스로 국가총은행이 컴퓨터센터를 가동하고 있는 형태의 전국 정보 전송망이다. 번호를 사용하는 회선과 X.25, DDN 등 3가지 형태가 혼재돼 망을 연결하고 있다. 이 망의 주전산기는 IBM4831이었으나 94년부터 처리업무의 증가에 따라 IBM ES 9000 계열로 변경됐다.

2급 컴퓨터 망은 각 성의 컴퓨터센터와 해당 도시의 은행 전산실을 연결하는 지역망이다. 이 망에는 IBM AS 400, IBM RS/6000, 탠덤, 유니시스 계열의 중, 소형 컴퓨터들이 연결돼 지역 금융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3급망의 경우 은행 자체망으로 볼 수 있다. 도시 은행과 이들 은행의 군 단위 지점을 연결하는 망으로 대부분 고기능PC로 연결해 놓고 있다.

한편, CNFN에도 몇 가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컴퓨터 통신기술 수준은 높지만 시설 유지와 보수에 약하고 전문 기술인력이 부족해 이용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또 높은 신뢰성과 안전성이 전제돼야 한다는 점 때문에 한 차원 더 높은 시스템으로 발전시키기가 어렵다는 점과 전자화폐 응용이나 부가서비스에 실질 응용효과가 떨어진다는 점 등도 해결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베이징=고희규 통신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