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을 구성하기 위한 장비는 카드, 리피터, 허브, 스위치, 브리지, 라우터, 브라우터, 게이트웨이 등이다.
이들 장비는 모두 세계표준화기구(ISO)에서 제정한 네트워크 기준,즉 개방형시스템상호접속(OSI) 7계층 모델에 맞춰 작동하고 있다.
이 점을 이해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OSI 7계층은 그대로 네트워크모델이며 각 층을이해함으로써 장비의 성능 및 형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와 함께 계층이 높아질수록하위 계층에서 작동하는 장비보다 정교하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도 알아두면 좋다.
LAN 카드는 PC를 LAN에 연결시키는 장비로 정식 명칭은 네트워크인터페이스카드(NIC) 또는 어댑터다.노트북인 경우 휴대용인 PCMCIA 카드를 사용한다.
리피터는 케이블이 갖고 있는 물리적인 한계 때문에 데이터가 멀리 전송되지 못하는 약점을보완해 주는 장비인데 UTP케이블, 광케이블 등 성능이 뛰어난 케이블의 등장으로 사장되었다.
허브는 여러 대의 PC를 연결하는 장비다.보통 4.8, 12.16, 24 등 다양한 포트를갖고 있으며 각 포트는 PC 1대에 할당된다.
허브의 약점은 각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PC의 대수만큼 쪼개서 제공한다는 것. 예를 들어 10Mbps의 대역폭을 제공하는 이더넷에 8포트형 허브로 PC 8대를 연결시켰을 때 8대의 PC는 각각 1.25Mbps의 대역폭만을 할당받게 된다.
이같은 성능상의 한계로 허브는 점차 재택근무 및 가정(SOHO)용으로 밀려나는 추세며 그 자리를 스위치가 대체하고 있다.
스위치는 PC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확대시키기 위해 탄생된 장비로 허브와는 달리 LAN이제공하는 대역폭을 PC로 고스란히 전달한다.(고속)이더넷스위치는 자신에 연결된 PC의 대수에 상관없이 각각에 (1백Mbps)10Mbps의 대역폭을 제공한다.
LAN의 형태 및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큰 공헌을 한 스위치의 장점은 가상(Virtual) LAN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이다.
가상LAN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LAN 방식으로 기존에 설치된 LAN의 물리적인 형태와관계없이 자유자재로 LAN 세그먼트를 조절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이에 따라 과거에 허브가 위치했던 와이어링클로젯은 모두 스위치가 차지하는 추세다.
브리지는 LAN과 LAN을 연결하는 장비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읽어 데이터가 LAN외부로 가야할지 아니면 내부로 가야할 지를 결정한다.이 장비 역시 라우터에게 자리를 넘겨주고퇴장했다.
라우터는 프로토콜이 다른 LAN을 연결시킬 때 사용하거나 LAN을 WAN에 접속시킬 때유용한 장비로 상당히 복잡하다.
이 때문에 인터네트워킹 장비로 불리는 라우터는 내보낼 데이터를 잘 쪼개 알맞은 크기의 패킷으로 만든 후 그것을 내부에 위치한 경로표(라우팅 테이블)에 따라 최적의 경로로 목적지까지 보내는 기능을 갖고 있다.
라우터는 또 방화벽(파이어월)의 기초형태로 자리잡고 있는데 그것은 WAN으로부터 LAN에 접근할 때 가장 먼저 부닥치는 장비이기 때문이다.
라우터는 시간이 갈수록 스위치의 성능향상으로 입지가 줄어들고 있지만 아직까지 LAN, WAN 결합장비로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게이트웨이는 LAN과 인터넷서버 등 각종 호스트를 연결하며 서로 다른 이기종간의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장비다.
이와 함께 브라우터는 브리지의 장점과 라우터의 장점들을 모은 시스템으로 네트워크 설계 및 확장을 지원하는 성질을 가졌으나 현재는 찾아볼 수 없다.
<이일주 기자>
*OSI 7계층:네트워크장비들이 지원해야 하는 기능 및 사양을 규칙으로 정해놓은 일종의네트워킹모델. 장비 제조업체들은 이 기준에 따라 제품을 개발, 상호호환성을 보장하고 있다.
*와이어링클로젯:PC들에 연결된 케이블이 집합하는 장소.
*세그먼트(Segment):허브나 스위치 1대로 구축된 가장 작은 규모의 LAN.